[2]주기도문 해설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5] 주기도문 해석

 (1) 그러므로

 

이 말이 나오기 이전에 “기도할 때에 이방인과 같이 중언부언하지 말라 구하기 전에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하나님 너희 아버지께서 아시느니라.”라고 하신 말씀을 전제로 한다.

 

  (2) 너희는

 

본문의 '너희'는 이방인들과 대조되는 혹은 구분되는 주의 제자를 가리킨다.

 

  (3) 이렇게 (*'후토스')

 

'이렇게'에 해당하는 원어는 '후토스'(*)로서  단지 자구적(字句的)인 답습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신과 내용 및 그 순서상의  방법에 대한 모범적 제안을 의미한다. 즉 예수께서는 이미 앞에서 경고하신 바 그릇되고  아무 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이방인들의 기도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올바른 기도의 모범을 제시하고자 하신 것이다.

 

  (4) 기도하라 (*프로슈케스데)

 

한편 여기서 '기도하라'(*프로슈케스데)는 2인칭 복수 현재 명령형으로서 단회적인 행동이 아닌 지속적(continual) 행동을 염두에 둔 명령이다. 즉 예수께서는 제자들이 '기도할 때마다' 이러한 모범을 따를 것을 요구하신 것이다.

 

  (5) 하늘에 계신 (*‘호 엔토이스 우라노이스’) 우리 아버지 (*파테르 헤몬)여

 

    ① 아버지

 

 1) 하나님은 우리의 왕이시고 우리의 주인이시다. 하나님을 왕과 주인으로 인식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신하와 종이 된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조차

 

 불경스럽게 생각하였다. 그래서 성경을 읽다가도 하나님이라는 글씨를 읽어야만

 

 할 때가 되면 소리를 내지 않고 넘어갔다. 하나님은 감히 하나님이라는 소리까지도

 

 내지 못 할 만큼 그렇게 위대하신 분이었고 대단하신 분이었다.

 

 그래서 예수님 당시에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다는 것은 파격 중에 파격이었다.

 

         2) 세상 복 중 가장 큰 복 = 부모를 잘 만나는 것

         3) 예수 믿는 것이 복된 이유 = 하나님을 아버지로 만나는 복

    ② 우리 아버지 (*파테르 헤몬)

 

       * ‘우리 아버지’라는 복수표현의 의미

 

     (한국어와 영어권의 표현방식의 차이 - 집, 아버지, 어머니, 우리 마누라 )

 

       ㉠ 공동체의 기도

 

 본래 초대교회에서는 성만찬 예식의 중요한 순서 중의 하나로 주기도를 드렸다.

 

 즉 세례를 받은 신도만이 참여하는 성찬 예식에서 세례 받은 성도들만이 함께 드린

 기도의 내용 가운데 「나」라는 말 대신「우리」라는 말을 씀으로써「함께 주의 제자가

 된 우리가 드리는 기도」 즉  공동체의 기도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 합심기도의 본보기

 

예수님께서는 “너희 중에 두 사람이 땅에서 합심하여 무엇이든지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저희를 위하여 이루게 하시리라(마18:19)”고 하였다. 그러므로「우리」라는

 

 말로 시작하는 주기도야말로 합심하여 기도하는 좋은 본보기이다.

 

        ㉢ 중보기도의 의미

 

 주기도는 반드시 공동집회 시에만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혼자서 기도할 때에도 적용

 

되는  원칙을 가르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혼자서 주기도로 기도할 때 아버지를

 

「우리」아버지라 부른다면 그 기도의 내용은 다른 사람을 위한 기도 즉 중보기도의 성격을

 

 띄게 된다. 예를 들면 주기도에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며...”라는 간구가 있는데 

 

 만일 어떤 기도자에게 일용할 양식이 풍족한데도 이렇게 기도한다면 그는 자기 자신의

 

일용할 양식보다 굶주리고 가난한 자, 끼니를 이어가기 힘든「그들」을 위한 기도가 되는

 

것이고 “우리를 시험에 들지 않게 하옵시며...”라고 할 때는 나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시험에 들지 않게 해 달라는 의미가 되므로 주기도는 나만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한 사랑에 찬 기도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기도는 ① 우리 모두를 위하는 공동체 의식과 ②형제를 의식하며 함께 기도하는

 

 심정과 ③ 형제를 위하는 사랑의 마음과 ④ 우리의 아버지 되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으로

 

 드리는 기도인 것이다.

 

③ 하늘에 계신 (*‘호 엔토이스 우라노이스’)

 

 이는 하나님께서 하늘이라는 제한된 공간에 계시는 분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 존재하는 모든 피조물들을 권능과 지혜로 친히 통치하시며 심판하시는 초월적인 분이심을 강조 한 표현이다. 또한 기도의 맨 처음에 '하늘에 계신'이란 표현을 쓴 것은 하늘나라가 진정 자신

 들의 본향(本鄕)임을 인식하고 기도할 것을 바라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깊은 뜻이 담겨 있다.

 

 (6)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

 

첫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십계명의 제1, 3계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출 20:3,7)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찌니라”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그분의 거룩한 이름의 가치만큼 거룩하게  대접받게  해  달라는  것이다(레  19:2;겔

 

36:23;벧전 1:15). 즉 이 세상에는 그분의 이름만큼이나 거룩한 것은 없으므로 그  거

 

룩한 이름이 주의 형상대로 창조함 받았으나 순수성을 상실(loss)해 버린 인간들의 천

 

한 생각과 행동에 의해 경멸받지 않게 해달라는 기도이다(말 1:6).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