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살로니카A서(살전) 5'19에는 "성령을 소멸하지 마시오"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과연 성령님이 소멸되실 수 있습니까? 그렇지 않다면 어떤 뜻일까요?그리고 성령님은 신자에게서 떠나실 수 있나요?
신자들이 흔히 혼동하곤 하는 주제입니다.
먼저 정확한 의미 파악을 위해 이 구절의 원문을 분석해 봅니다.
τὸ Πνεῦμα μὴ σβέννυτε, 음역: 토 프뉴마 메 스벤뉘테
위에서 "소멸하다"에 해당하는 동사 '스벤뉘테'의 원형(기본형), '스벤누미'는 (불길을)끄다, 꺼뜨리다, 꺼버리다 또는 억제하다, 억누르다, 질식시키다 등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스벤누미의 파생어들은 신약 성경에서 모두 8회(마태복음서 12'20; 25'8, 마르코스복음 9'44,46,48, 에페소서 6'16, 테살A 5'19, 히브리서 11'34) 나타나는데, 이 모두가 (불을) '끄다'라는, 거의 같은 뜻으로 쓰였습니다. 이 동사의 영역들도 모두 quench, extinguish, stifle 등으로 옮겨져 있습니다.
우리 말 성경에서 한자어를 그대로 쓴 '소멸(消滅)'하다는 어휘는 뒤의 '멸'자 때문에 멸망한다는 뜻으로도 쓰여 자칫 오해하기 쉬운 개념입니다. 그렇더라도 여기서 꺼질 '소(消)'는 우선 불이 물로 꺼지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방(消防), 진화(鎭火)에서처럼 말입니다.
성령님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의 영이시며 성삼위일체의 제 3위이십니다. 따라서 영원 불멸이시며, 처음부터 나중까지 계신 하나님(티모테A서=딤전 1'1, 계시록 1'8)은 사라지거나 자멸하실 리가 없습니다. 만약 그분이 영원 불멸의 하나님이 아니시라면, 인간에게 부활/불사/불멸의 생명을 주실 수도 없겠지요.
자 그렇다면, 이 성구, 테살로니카 5'19은 다른 성구들과 모순일까요?
여기서 우리는 본 성구의 앞뒤 문맥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늘 기뻐하시오. 끊임없이 기도하시오. 모든 일에 감사하시오. 이것이 곧 크리스토(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여러분을 향한 하나님의 뜻입니다. 성령님(의 불)을 꺼뜨리지 마시오. 예언들을 멸시하지 마시오. 모든 것을 잘 헤아려 좋은 것은 붙잡으시오. 모든 종류의 악은 멀리하시오. (테살A 5'16~22 사역).
흡사 짧은 경구나 잠언 같은 이 구절들 한 가운데 19, 20절의 두 부정문이 끼어 있지요.
성령님(의 불)을 꺼뜨리지 마시오. 예언들을 멸시하지 마시오.
이 두 구절을 서로 대조해 보면, 결국 예언들을 멸시하지 말아야 하듯 성령님의 존재 자체가 아니라 인간적 두드러짐이나 죄악을 통해 그분의 역사/활동/사역을 "꺼뜨리지" 않아야 하다는 교훈임을 느껴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성령을 근심케 하지 마시오."(에페소서 4'30a)라는 말씀과도 조화됩니다.
그렇다면 유한한 인간이 과연 전능하신 성령님의 주권적인 역사를 꺼뜨릴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구체적 실례를 들어보죠.
이스라엘의 초대 왕 샤울(사울)은 왕으로 공식 기름부음(anointing)을 받기 전, 먼저 성령으로 기름부음을 받아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슈무엘A서=삼상 10'6'9). 물론 신약시대처럼 성령님이 그의 속에 들어오셔서 온전히 내주(內住, indwell)하시게 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와 함께 하시는 사역적인 기름부음이었을 뿐이죠. 그런데 그가 교만해져 이런 기름부음의 은혜를 저버리고 계속 불순종과 악을 저지르자, 성령님이 근심하시다 결국 그를 영원히 떠나시고, 그 대신 하나님이 허용하신 악령이 그에게 작동하게 됩니다(참고: 슘A 13'1~13; 15'10,11,19,26,35; 18'10; 19'9).
샤울에게 역사하시던 하나님은 이제 그의 후임자 다뷔드(다윗)에게 임하셔서 역사하십니다. 역시 사역적인 기름부름이죠. 그러나 다뷔드도 큰 죄를 범하고 나자(슈무엘B서=삼하 11장 참조), 전임자 샤울에게서 성령님이 떠나버리신 사실을 새삼 생생히 기억하게 됩니다. 그래서 성령님을 거두시지 말아 달라고 울부짖으며 하나님께 간구했지요(시편 51'11).
이처럼 구약인들에게서는 성령께서 떠나실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신약인들은 다릅니다.
오순절 성령이 오셔서 사람들 속에 영구히 머무시게 된 이래(요한복음서 14'16), 사람이 예수님을 구주/주인, 부활의 주님으로 믿고(참고: 로마서 10'9,10) 그 분의 영을 모셔들임으로써 일단 신자 속에 머물기 시작하신 성령께서는 구약인의 경우처럼 떠나시지 않고 그 속에 영구 거주하십니다. 다만 그 사람이 믿음에서 떠나 예수님을 부인할 때 성령께서도 계속 거주하실 이유가 없겠지요(티모테A서=딤전 4'1).
주님의 가지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한(요복 15'4~6),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멀어지거나 떨어져 나갈 수 없습니다! 문제는 가지인 우리가 나무이신 그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경우입니다. 또한 계속 죄를 지어 양심의 가책도 없이 불도장 찍힌 양심이 돼버리면, 성령님의 사역을 경시하고 멸시할 뿐더러 그 분을 근심하게 해 드려, 결국 그 분에게 내침과 버림을 당하고 철저히 타락한 사람이 돼 버릴 수도 있음을 히브리서 기자는 경고하고 있습니다(히브리서 3'12,13; 4'1; 6'4~8. 참고: 요한계시록 2'21).
주권적인 사랑의 하나님도, 이처럼 인간의 의지적이고 지속적인 타락을 어찌하실 수 없어 그냥 두시는 경우가 있음을 우리는 유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회개할 기회에 제때 회개해야 좋은 것입니다. 요컨대 대다수의 경우, 하나님의 주권은 인간의 의지를 초월하지 않습니다. 인간이 자기 의지를 발휘하여 마땅히 할 것을 제대로 해야 하나님도 역사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의지를 무시하고 강압적으로 역사하시진 않지요.
그래서 우리는 반복되는 지속적이고 의지적인 범죄를 조심해야 합니다. 양심에 불도장이 찍힐 때, 하나님도 어쩌실 수 없기 때문입니다.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