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성경, 교리, 교리적 주석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4. 결론축자적 그리고 기독론적

 

칼빈은 “모든 복음이 그리스도 안에 포함되어 있다(totum evangelium in Christo contineri)”고 여기고, 복음의 핵심을 그리 스도의 인격 자체에서 찾는다.59) 은사의 교통과 속성의 교통과 사역의 교통은 성경말씀에 따른 “축자적 교통”의 세 가지 양상을 뜻할 뿐, 서로 별개가 아니다.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은 성령의 조명과 감화로, 믿음으로 수납된다. 성경은 하나님이 그 속에서 친히 말씀하심으로 믿음으로 수납할 때 교리적 확실성(certitudo)이 담보된다. 이러한 점 에 착안하여 칼빈은 오직 신앙의 유비로만 주어진 본문들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가르침 곧 교리(doctrina)를 가장 엄정하게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60) 이와 관련한 가장 첨예한 논쟁이 우리가 다룬 그리스도의 위격적 연합에 따른 신인양성의 ‘축자적 교통’과 관련하여 종교 개혁기에 일어났다. 칼빈의 성경해석을 특징짓는 “간결성과 유익성 (brevitas et facilitas)”은 단지 문체와 어투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본문의 교리적 의미를 추구하는 엄정한 주석의 자세에 일차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우리는 본고에서 주목하였다.61)

 

칼빈의 설교 역시 이러한 기독론적 관점이 시종 견지된다.62) 칼빈의 설교는 하나님이 존재와 속성, 우리의 필요를 채우시는 하나님의 사랑, 우리를 자녀 삼아주시는 하나님의 부성적(父性的) 은총에 집중되는 바, 이에 대한 계시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선포로 뚜렷하게 나타난다. 설교는 기독론적 범주에서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순수한 교리를 심화시키고 그 부요함을 추구할 때 하나님의 음성(vox Dei)을 온전히 선포할 수 있다고 칼빈은 여긴다.63)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 “복음의 실체는 하나님의 아들의 인격 가운데 이해된 다(la substance de l’Evangile est comprinse en la personne du Fils de Dieu).”64) 이러한 경향과 관련해서 그리스도의 인격과 비하 와 승귀의 상태 그리고 대속의 사역을 설교하면서 칼빈이 성례적 연 합에 관한 자신의 고유한 입장—영적 임재설—에 자주 문의하고 있음 이 주목할 만하다.65)

 

구약신학자 차일즈(Brevard S. Childs)는 성경과 기독교 신학의 관계를 다룬 한 논문에서 양자의 차이는 본질적이지 않으며 정도에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66) 그러나 이는 다분히 이상적일 뿐, 현실의 괴리는 크다. 과연 오늘날 성경의 본질과 권위, 나아가 성경해석과 주 석, 설교, 혹은 성경신학이 교리적으로 추구되고 있는가?

 

칼빈은 성경과 교리의 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견지하는 가운데 교리적 주석을 감행하였다. 루터와는 달리 칼빈은 예표적 해석에 편향되지 않았다.67) 구약의 기독론을 예표론적 측면에서 다루되 문자적, 역사 적, 영적 해석의 근저 위에서 그리하였다.68) 그러므로 그의 주석은 본문에 충실하면서도 신구약의 경륜에 맞추신 하나님의 섭리의 역사 적 의미를 고려하는 가운데 영적으로 곧 신학적으로 추구되었다. 칼 빈에게 있어서 주석은 말씀에 의해서 규범된 교리를 조명하고 적용 하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말씀의 본래적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기 도 하였다.69)66) Brevard S. Childs, “On Reclaiming the Bible for Christian Theology,” in Reclaiming the Bible for the Church, ed. Carl E. Braaten and Robert W. Jenson (Grand Rapids: Eerdmans, 1995), 1-15, 특히 15. 여기에서 저자가 성경신학적 입장에 경도되어 이러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

59) 『칼빈주석』, 롬 1:3 (15-16, CO 49.15).

60) Cf. Richard A. Muller,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vol. 2, Holy scripture: The Cognitive Foundation of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93), 63-66.

61) 그동안 이러한 관점은 거의 무시되었다. Cf. Richard C. Gamble, “Calvin as Theologian and Exegete: Is There Anything New?” Calvin Theological Journal 23 (1998), 178-194; Parker, Calvin’s New Testament Commentaries, 85-93.

62) Cf. 이환봉, 『성경에 이르는 길』, 361-366.

63) T. H. L. Parker, Calvin’s Preaching (Edinburgh: T&T Clark, 1992), 97-100.

64) John Calvi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tr. Leroy Nixon (Audubon,NJ: Old Paths, 1977, New Edition of New English Translation 1950), 요 1:1(15,21, CO 47.467, 472, 476); 눅 2:1-14 (36-38, CO 46.956-958).

65) Calvi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48-49, 63, 156-157, 195-196,

67) Cf. John L. Thompson, “Calvin as a Biblical Interpreter,” in John Calvin, ed. Donald K. McKi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4-70.

68) 이러한 점에서 칼빈은 “가운데 길(중립, via media)”에 서 있었다. Cf. Puckett, John Calvin’s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113-132.

69) 말씀의 순수한 의미는 즉각적으로 주어지는 것인가는 문제는 칼빈의 해석학과 관련하여 문 제되어 왔다. 다음 책은 이 주제를 칼빈의 신학의 형성과 관련하여 다루고 있다. Thomas F. Torrance, The Hermeneutics of John Calvin (Edinburgh: Scottisch Academic Press, 1988. 그러나 성경이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인 것은 그것이 “말씀하시는 하나 님의 인격에 의해서(a persona loquentis Dei)” 말씀되기 때문이라고 보는 입장을 확고 하게 견지하는 칼빈에게 있어서 이러한 문제는 별 논란거리가 되지 않는다. Inst. 1.7.4, (CO 2.58).

 

문병호(총신대학교 교수, 조직신학) 

The Cross Pendant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uy Now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Terms of UsePrivacy Notice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

Home
Gospel
Question
Blog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