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 Holy about Anything 모든 일에 거룩함
Being Holy about Anything 모든 일에 거룩함
title :
Being Holy about Anything 모든 일에 거룩함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4:8-9
date : September 27, 2020
8.Finally, brothers, whatever is true, whatever is noble, whatever is right, whatever is pure, whatever is lovely, whatever is admirable--if anything is excellent or praiseworthy--think about such things. 9.Whatever you have learned or received or heard from me, or seen in me--put it into practice. And the God of peace will be with you.
SUMMARY
If someone hears the apostle Paul's command in today's text and then rushes to try to practice the word, it is a proof that he is not only completely ignorant of himself and the word, but also completely misunderstanding the word. We human beings, by nature objects of wrath (Ephesians 2:3), are born as beings that emanate curses, so nothing arising from that nature is godly, right, pure, or lovable. Nothing that comes out of man is holy, cannot please God, and cannot pass God's judgment. 누군가가 오늘 본문에 나와 있는 사도 바울의 명령을 듣고는 자신이 그 말씀을 그대로 실행해보겠다고 덤벼든다면 그는 자기 자신과 말씀에 대해 전적으로 무지할 뿐 아니라 말씀을 완전히 오해하고 있다는 것의 반증이 된다. 본질상 진노의 자녀(엡 2:3)인 우리 인간은 저주를 발산하는 존재로서 출생하기에 그 같은 본성에서 유발되는 그 어떤 것도 경건하거나 옳거나 정결하거나 사랑할만하지 못하다. 인간에게서 나오는 그 어떤 것도 거룩하지 못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도 없고 하나님의 심판을 통과할 수도 없다.
However, humans are ignorant of their nature, so when God, who became a man, came to this world, the attitude that those who represented human nature showed to Jesus was murderous. This is the attitude of humans toward God. 그러나 인간들은 이러한 자신들의 본질에 대해서 무지하기에 사람이 되신 하나님이 이 세상에 오셨을 때 인간의 본성을 대표하는 자들이 예수님에게 보인 태도는 살기등등함이었다. 이것이 인간이 하나님을 대하는 태도이다.
This shows that human nature is obsessed with powerful evil forces that humans themselves cannot control. This power is against God and man is controlled by this power. Therefore, gods worshipped by humans who are controlled by hands that do not look like puppets is only an ideal image that human beings, 'by nature objects of wrath' hold in their minds. Humans take good care of the image of "God" manipulated by themselves as if they were taking care of the garden's plants. There is absolutely no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here. 이것은 인간의 본성은 인간 스스로는 제어할 수 없는 강력한 악한 힘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힘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힘이며 인간은 이 힘에 의해 조종당한다. 그러므로 꼭두각시 인형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조종당하는 인간들이 숭배하는 신이라고 하는 것은 ‘본질상 진노의 자녀들’이 그들의 마음에 품고 있는 이상적인 이미지에 불과한 것이다. 인간은 자아가 조작한 ‘하나님’의 이미지를 마치 정원의 화초를 돌보듯 성의를 다해 돌본다. 여기에는 성령의 개입이란 것은 전혀 없다.
The Holy Spirit is the Spirit of the Cross. Therefore, when the Holy Spirit comes, the Holy Spirit puts the cross into the human heart that has been hardened due to human "self". Originally, "self" was not created by God. What God made is the human body. However, the devil instilled "self" in humans and made the human body his own. Thus, the human body became a body of curse, a body of mortality in which the image of body and self was combined. So even though it's the body that actually feels hungry, the ego says, 'I'm hungry.' This means that the self is occupying the place of the subject that feels hungry. 성령은 십자가의 영이다. 그러므로 성령이 오시게 되면, 성령은 인간의 자아 때문에 굳어진 마음 안에다 십자가를 박아 넣는다. 본래 ‘자아’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은 인간의 몸이다. 그런데 악마는 인간 속에 ‘자아’를 주입시키고는 인간의 몸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몸은 몸과 자아라고 하는 이미지가 결합 된 저주의 몸, 죽을 몸이 된 것이다. 그래서 사실 배고픔을 느끼는 것은 몸인데도 자아는 말하기를 ‘나는 배고프다’라고 말한다. 이것은 배고픔을 느끼는 주체의 자리를 자아가 점령하고 있다는 말이다.
No one knows all these facts until they know the gospel. They are darkened in their understanding. However, when the Lord's promise(Covenant) penetrates into human beings, they become aware that the human body is not man's own, but the possession of God's promise(Covenant). Jesus, wearing the "cursed body", intervening in the human world with God's promises and holiness, and through his death he took his people from the devil they had been captured with and turned their bodies into "holy bodies," blessed bodies. 복음을 알기 전에는 그 누구도 이 모든 사실을 알지 못한다. 그들의 이해는 깜깜하다. 그러나 주님의 약속(언약)이 인간 안으로 침투해 들어오게 되면 인간의 몸은 인간들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언약)의 소유물임을 알게 된다. 예수님께서는 ‘저주의 몸’을 입고 하나님의 약속과 거룩을 품은 채로 인간 세상에 끼어드시고는 자신의 죽음으로써 자기 백성을 그들이 사로잡혀있던 악마에게서 탈취해내어 그들의 몸을 ‘거룩한 몸’, 복된 몸으로 바꿔주셨다.
This is the way the Lord dresses the Lord Himself on the cursed bodies of them in order to convert his people into a blessed body. In the Old Testament, it was none other than the majestic robe a high priest wore, the holy robe (Ex. 28) that set the high priest so holy. It is only in the New Testament that it is revealed that this holy garment is the Lord Himself (Gal. 3:27). The Lord dresses the Lord Himself whole upon His people's cursed bodies and sets them apart from this unclean world. 이것은 주님께서 자기 백성을 축복의 몸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저주의 몸에다가 주님 자신을 입히시는 방식이다. 구약에서 대제사장을 그처럼 거룩하게 구별시켰던 것은 다름 아닌 그가 입은 그 장엄한 옷, 즉 거룩한 옷(출28장)이었다. 신약에 와서야 이 거룩한 옷이 주님 자신임이 밝혀진다(갈3:27). 주님은 자기 백성의 저주의 몸에다가 주님 자신을 통째로 입히시고 그들을 이 부정한 세상에서 구별시키시는 것이다.
As the feet of the priests dressed in holy clothes were immersed in the Jordan River, the water flowing from above was cut off and piled up, and the Israelites crossed Jordan like crossing dry land(Josh. 3:15). Likewise, the saints, as holy priests, washes their robes and makes them white in the blood of the Lamb and they passes through the sea of glass mixed with fire of judgment. They are the ones who have overcome the beast, his idol, and the number of his name, and have escaped, standing by the sea of fiery judgment through which they have passed, singing a song of Moses, the servant of God, and the song of the Lamb(Rev. 15:2-3). 거룩한 옷을 입은 제사장들의 발이 요단강에 잠기자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져 쌓였고 이스라엘 백성은 그 요단강을 마른 땅을 건너듯 건넜다(수 3:15). 이와 마찬가지로 성도들은 거룩한 제사장들로서 ‘죽임 당한 어린양’의 피에 그들의 옷을 씻어 희게 하고 불 섞인 심판의 유리바다를 통과한다. 그들은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로서 그들이 통과해온 불 섞인 심판의 유리바다가에 서서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 어린 양의 노래를 부르는 자들이다(계 15:2-3).
The long history of the Old Testament is a story in which Israel dislikes to be ruled by God and was destroyed by God in pursuit of the prosperity of the foreign peoples and the strength they possess. God brings out the "remnant" chosen by grace from Israel in such a way that He judges and throws away Israel, which is God's process of selecting the “"remnant”. Through this process, those classified as the "remnant" become those who boast only God's grace. "So too, at the present time there is a remnant chosen by grace. And if by grace, then it is no longer by works; if it were, grace would no longer be grace(Rom. 11:5-6)." 구약의 긴긴 역사는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통치 받는 것을 싫어하고 이방민족의 번영과 그들이 가진 힘을 좇아가다가 하나님에 의해 멸망당한 이야기이다. 하나님은 그러한 이스라엘을 심판하고 내다버리는 방식으로 이스라엘에게서 ‘남은 자’를 끄집어내시는데 이것이 하나님의 ‘남은 자’ 선별과정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남은 자’로 분류된 자들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 자랑하는 자들이 된다. “그런즉 이와 같이 이제도 은혜로 택하심을 따라 남은 자가 있느니라 만일 은혜로 된 것이면 행위로 말미암지 않음이니 그렇지 않으면 은혜가 은혜 되지 못하느니라 (롬11:5-6)”
In order to prove that choosing them was due to grace, not their works, God pushes his people into unexpected encounters with others, both in the past and now as well. Through such encounters, the Lord makes his people feel that what comes out of them is nothing but a curse that will provoke the wrath of God. The Lord also makes them realize that their ethical conduct and good deeds are, in fact, only hypocrisy, and furthermore, those are merely means of showing off their strength. 그들을 택하심이 그들의 행위가 아닌 은혜로 말미암은 것임이 드러나기 위해서 하나님은 과거에나 지금이나 자기 백성들을 타인들(불신자들)과의 예기치 못한 만남 속으로 밀어 넣으신다. 그런 만남들을 통하여 주님은 자기 백성들로 하여금 그들에게서 나오는 것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일으킬만한 저주거리 밖에 없음을 통감하게 하시는 것이다. 또한 주님은 그들의 윤리적인 행위와 선행이라는 것은 사실 위선에 불과하며 더 나아가 그것은 자신들의 힘을 과시하는 방편에 불과한 것임을 그들로 하여금 깨닫게 하신다.
Thus, throughout the life of the saints, God lets them know that they are "by nature objects of wrath" and confirm that they are "those left by grace" in a way that allows them to give up themselves and the Lord takes the Holy Spirit out in them. 이처럼 하나님은 성도의 일평생을 통해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본질상 진노의 자녀 됨’을 알게 하시면서 그들로 하여금 자아를 포기하게 하시고 그들 안에 계시는 성령을 끄집어내는 방식으로 성도의 ‘은혜에 의한 남은 자’됨을 확인하게 하신다.
Every day their impossibility, sinfulness and incompetence are exposed by the Holy Spirit, but the saints can be confident in any case and have no hesitation because they know they are already in the Jesus' completion of the Covenant. The Holy Spirit lets them find themselves in the blood of Jesus, who had completed the Covenant. These are the ones who are God's delight(Luke 15:10).날마다 자신들의 불가능함과 죄악 됨과 무능력이 성령에 의해 들통이 나면서도 성도들이 어떤 경우에도 당당할 수 있고 머뭇거림이 없을 수 있는 것은 그들은 이미 예수님의 언약의 완성 안에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성령님은 그들로 하여금 언약을 완성하신 예수님의 피 안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하신다. 이런 자들이 바로 하나님의 기쁨이 되는 자들이다(눅 15:10).
"For all of you who were baptized into Christ have clothed yourselves with Christ(Gal. 3:27)" They are regarded as noble, right, chaste, loving and praiseworthy by the Lord in everything they think and do. The saints are not living alone, but with the "holy guide." David's praise, "The LORD is my shepherd, I shall not be in want(Ps. 23:1)." is the same confession of all the sheep of the Lord.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은 자이다(갈 3:27)". 그들은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행하든 모든 것에 대하여 경건하며 옳으며 정결하며 사랑할 만하며 칭찬할 만한 자들로 여기심을 받는다. 성도는 홀로 거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한 인도자’와 더불어 사는 자들이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시 23:1)라고 하는 다윗의 찬양은 모든 주님의 양들의 동일한 고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