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목회학 원론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4. 유일한 하나님의 말씀

 

1) 하나님의 말씀

a. 인간을 해방시킨다.

b. 그 말씀은 인간의 말이 아닌 예수그리스도를 통하여 흘리신 보혈로 인간의 죄를 사하신 것이다.

c. 모든 악의 세력으로부터 구원해 주신 말씀이다.

 

2) 하나님의 뜻

a. 하나님은 결코 인간 자신의 노력으로 인간과 접촉되지 않으신다.

b. 마리아도 그 어떤 성인도 제 나름대로 하나님의 은혜와 접촉할 수 없다.

c. 예수그리스도 외에는 그 누구도 하나님과 인간사이에 다리를 놓을 수 없다.

 

5. 정신치료

 

1) 현대인과 그들에 대한 이해

a. 현대인은 교회와 한번도 접촉해 보지 않았다 할지라도 목회에 대한 개념만은 나름대로 지니고 있다.

b. 현대인이 알고 있는 목회개념과 목회에 대한 기대를 알아야 한다.

c. 현대인의 욕구를 바르게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도 그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한다.

 

2) 정신치료의 도입과 위험

a. 목회자는 대화를 위하여 정신치료방법을 목회에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b. 정신치료는 진정한 목회를 이룰 수 없다.

c. 세속적인 형식을 갖춘 상식, 인격발전 또는 심리학이 모습을 드러낼 뿐이다.

d. 현대인의 생활을 이야기하면서 전혀 각도가 빗나가는 형식을 취해왔다.

e. 목회상담이 전혀 개입되지 않은 채 인간사회의 모습을 개진해 왔다.

 

3) 현대인은 인간의 정신생활과 영적 생활에 무관심하다.

a. 현대인은 대중사회 속에서 대중인간으로 존재하고 있다.

b. 19세기 초엽까지는 가정, 학교, 교회, 사회가 개인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c. 그러나 19세기 이후 급격한 도시화는 인간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에서 대중의 문제로 바뀌어 갔다.

d. 인간의 관심사는 생활철학과 생활방식이 유물주의로 치닫게 되었다.

 

4) 효과 잃은 교회의 노력

a. 인간의 정신생활의 타락물결을 뒤바꿔 보려고 계속된 노력을 기울였다.

b. 현대인의 관심은 집단화 내지는 물질주의화 되어 가는 마당에서 전례 없이 교회생활에 파탄이 거세게 일어났다.

c. 교회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불일 듯 일어남을 계기로 교회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말았다.

 

5) 목회상담의 요청

a. 인간의 내면생활에 대한 좀더 깊은 지식 즉 목회상담에 대한 요청이 일기 시작했다.

b. 이것은 오늘날까지 침묵을 깨고 소리를 발한 것은 그 자체가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c. 목회와 상담을 갈구하는 영혼의 문제를 새롭게 발견한 셈이다.

d. 다시는 병든 상태에 돌아가지 않기 위하여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6) 현대인의 정신적 토대의 결핍

a. 현대인의 정신생활의 결핍

b. 노이로제

c. 철학적 혼돈과 방황

d. 곤혹스러운 혼란

 

7) 유물주의적 세계관과 자연주의적 세계관의 물결이 퇴보하면서 나타난 증거

유물주의적 세계관과 자연주의적 세계관의 물결이 퇴보하면서 인간의 영혼문제에 대한 강한 부르짖음이 일기 시작한 것이다.

a. 현대심리학

b. 정신병리학

c. 정신치료법

 

6. 인간의 이원성

 

1) 하나님을 깨달아 알고

2) 하나님께 속한 것을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능력

a. 잠재되어 있어서 어떤 교육이나 신비적인 몰입

b. 지적인 집착이나 도덕적인 순화작용을 통하여 재생될 수 있는 신적 본질로 설명된다.

 

7. 하나님의 말씀을 바탕으로 하는 목회

 

1) 하나님의 말씀을 바탕으로 하는 목회여야 한다.

2) 전인으로 하여금 하나님과 실제로 대면케 하신다.

3) 항상 하나님 자신이 주도권을 가지시고 인정해 주신다.

 

4) 현대인의 특징

a. 자기 안에 있는 신적인 요소로서의 영혼이 일깨움을 받을 수 있다는 식의 제 나름대로의 이해를 지니고 있다.b. 자기 스스로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정신생활의 양식을 갈구하는 것뿐이다.c. 그들은 믿어주고, 그들의 정신적 자원과 능력을 믿어주고 또 방향을 바꾸어 우리들에게 자기들에 대한 진리를 일깨우고 강화해 주기를 요구하는 것이다.d. 은혜를 통하지 않는 방법을 원하는 것이다.

 

5) 목회자의 의무

a. 하나님의 말씀을 표현해주는 영역으로 바꿔 놓기 위하여 가능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b. 그들을 성서와 기도로 인도해야 한다.

 

8. 성서와 반대되는 인간이해

 

1) 자연신학

a. 자연신학은 계시와 이성, 성서와 인간의 능력을 동일시하는 사상이다.

b. 그에 따른 신앙이다.

c. 인간을 은혜 없이 이중성으로 보는 인지학(人知學)의 형태이다.

d. 이러한 자연신학은 교회의 사상적 신앙적인 적(敵)이라고 규정되었다.

e. 자유주의 신학과 자연신학은 동일한 것이다.

f. 자연신학적인 목회는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말씀이나 성서와는 전혀 연루되어 있지 않은 일종의 신비주의적 또는 도덕적 목회 방식으로서 진정한 목회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2) 현대교회가 할 일

a. 자연신학과 자연신학적 인간이해를 최선을 다하여 막아야 한다.

b. 뢰에, 휠마르, 하름스 및 두 형제 블룸하르트를 소개한 바 있다 이들은 모두가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의 가치를 높이 들고 엄밀한 성서적 입장을 따라 목회의 영역을 추구하고 확정한 점에서 오늘날에 있어서도 중요한 참고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3) 목회분야에서의 자유주의신학

a. 자유주의 신학의 정신이 크게 압도를 이루어 왔다.

b. 19세기 초엽에 “슐라이에르마하”와 같은 신학자가 위세를 떨치며 등장했다.

c. 19세기 중엽에 나타난 성서에 바탕을 둔 신학을 약화시킨 채 그의 적수로 등장한 “알브레히트 릿츨”도 동일하다.

d. “슐라이에르마하”는 교인들의 경건한 의식과 경건한 생활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e. 교회의 정신상담이 증가일로에 있었다.

f. 당시 고등교육을 받은 저명 인사들의 전기를 읽어보면 강론이나 설교나 목회 그 어떤 것을 통해서도 복음선포에 거의 영향을 받지 못한 흔적을 뚜렷이 엿볼 수 있다.

 

9. 결론

 

목회는 이제 오로지 그리스도의 말씀을 바탕으로 하는 교회 안에서 다시 이루어 져야 한다.

 

1) 인간을 세례의 관점에서 보는 목회자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2) 왜냐하면 세례는 인간이 이중성 전체 안에 있고 또 그것과 함께 존재하며 나아가 의식과 무의식 속에 그리고 그것과 함께 존재한다.

3) 우리는 육과 영혼, 삶과 죽음 속에 사는 것이 아니라 오직 신실한 우리의 구세주 예수그리스도에 속한 존재임을 고백하는 표징이기 때문이다.

4) 목회자는 개개인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그의 생활 속에 구체적으로 심어주며 이것을 교회의 설교를 통하여 선포하는 일 이것이 복음주의적 목회의 과제이다.출처/정신섭교수 자료 중에서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Terms of UsePrivacy Notice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

Home
Gospel
Question
Blog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