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식 조직신학 제1부. 서론제2부. 신론제3부. 인간론제4부. 기독론제5부. 구원론제6부. 성령론제7부. 교회론제8부. 종말론제1부 서론(序論) 1. 조직신학을 공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하라.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교의를 체계적(體系的, Systematic)이고, 논리적(論理的, Logical)이고, 교육적(敎育的, Educational)이고, 실증적(實證的, Positive)이고, 교의적 (敎義的, Dogmatic)으로 연구를 진행한다.2. 조직신학의 정의를 말하라.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에 관한 계시적 학문(啓示的 學問)이다.그러므로 조직신학을 바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경에 대한 신적 권위를 전제로 한 믿음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지 않으면 결코 바른 신학을 공부할 수가 없다.3. 종교의 정의를 말하라.일반적인 의미에서 종교를 논할 때는, “종교란 신(神)에 대한 제사(祭祀)와 관련하여 경외(敬畏)라는 의미에서 관계를 갖는 것이다”라고 할 수 있다.기독교적인 입장에서 종교의 정의를 말 할 때에는, “종교란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關係, Relation)이다” 라고 정의한다.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는 사람이 하나님을 향해서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공경(恭敬)하고 순종(順從)해야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하나님의 형벌이 있을 것이라는 감정상의 관계요 행위상의 관계이다.4. 종교의 기원(起源)을 말하라.종교의 기원을 서물 숭배, 정물 숭배, 조상 숭배 등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나, 이는 사람이 신을 향하는 행위로서 이를 자연 종교(自然宗敎, Natural Religion)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우리 기독교는 종교의 창시자(創始者, Founder)를 하나님으로 하기 때문에 계시종교(啓示宗敎, Revelation Religion)라고 한다.5. 종교의 특징적인 요소 네 가지를 말하라.첫째, 신앙(信仰, Faith)둘째, 경건(敬虔, Honor)셋째, 경외(敬畏, Reverence)넷째, 의존(依存, Dependence)6. 교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하라.첫째, 성경이 진리를 강요한다.둘째, 교회의 통일성이 교리의 일치를 요구한다.셋째, 교회의 의무가 교리의 통일을 요구한다.7. 교리학의 종합적 방법에 대하여 말하라.첫째, 하나님에 관한 교리 (神論)둘째, 인간에 관한 교리 (人間論)셋째, 그리스도에 관한 교리 (基督論)넷째, 구원에 관한 교리 (救援論)다섯째, 성령에 관한 교리 (聖靈論)여섯째, 교회에 관한 교리 (敎會論)일곱째, 종말에 관한 교리 (終末論)8. 특별계시와 성경에 대하여 말하라.하나님의 특별계시는 성경을 통하여 영원한 형태를 취하면서 보전되어야 한다.그러나 성경과 특별 계시는 꼭 같은 것만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바른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한다.1). 특별계시와 성경의 다른 점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특별계시의 방법으로 쓰여졌다. 그러나 특별계시 (特別啓示, Special Revelation)라는 말을 사용할 때에 성경은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방법에 의해서 기록되었다는 말이지 특별계시 자체가 곧 성경이라는 말은 아니다.그러므로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일들은 성경 이외에도 성경이 기록되기 전에나 또한 이후에도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계시와 성경의 다른 범을 읽을 수 있다.2). 특별계시와 성경의 같은 점특별계시는 성경 전체가 성령의 영감에 의해서 잘못이 없이 기록되었다는 점에서는 그 사실에서 신적인 보증을 받게 된다.그러므로 특별계시란 그 본래의 역사적 설정과 함께 성경에서 발견되는 구속 진리와 구속 사실 전체에도 적용된다는 뜻에서 성경과 특별계시의 동일성(同一性)을 나타낸다.9.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성경의 영감에 대해서 말하라.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성경의 영감에 대한 말씀은 대개 다음과 같은 말씀들을 들어서 증거 할 수 있다.첫째, 구약성경을 기록한 기자들은 주님께로부터 그것을 쓰도록 반복적인 명령을 받았다고 증거하고 있다 (출17:14, 34:27, 민34:2, 사8:1).둘째, 예언자들은 자신들이 신적사신(神的使信)을 전한다고 의 식했다 (렘36:27, 32, 겔26:27, 31:32).셋째, 이사야 선지자는 자기가 쓴 예언을, “여호와의 책”이라고 까지 기록하고 있다 (사34:16).넷째, 신약의 기자들은 구약을 인용할 때에 그것을 '하나 님의 말씀' 혹은 '성령의 말씀'이라고 기록하고 있다(마15:4, 히1:5, 3:7, 4:3, 5:6, 7:21).다섯째, 사도 바울도 작시의 말을, “영이 가르쳐 준 말씀”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고전2:13, 살전2:13). 특히 그는 좀 더 구체적으로,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 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 하니..,”라고 기록하여 전 성경이 성령의 영감으로 기록 된 책이라고 하는 것을 분명히 해 준다 (딤후3:16).10. 성경 영감의 성격과 범위를 말하라.성경 영감의 성격(性格)에 대하여 기계적 영감(機械的靈感, Mechanical Inspiration), 동력적 영감 (動力的 靈感, Dynamical Inspiration), 유기적 영감(有機的 靈感, Organical Inspiration) 등이 있는데 우리는 유기적 영감 설을 취하고 있고, 영감의 범위에는 사상 영감(思想靈感, Thought Inspiration), 부분 영감(部分靈感, Partial Inspiration), 축자 영감(逐字靈感, Verbal Inspiration) 등이 있는데 우리는 축자 영감 설을 취한다.제2부 신론 (神論) 11. 하나님의 존재 증거에 대한 이성적인 존재 증거 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말하라.1). 존재론적 증거 (存在論的 證據, Ontological Argument)2). 우주론적 증거 (宇宙論的 證據, Cosmological Argument)3). 목적론적 증거 (目的論的 證據, Teleological Argument)4). 도덕적 증거 (道德的 證據, Moral Argument)5). 역사적 증거 (歷史的 證據, Historical Argument)그러나 이러한 증거들로는 이성에 의한 유추적(類推的)인 추상일 뿐 바른 증거에 이를 수 없다.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하나님의 계시 방법 이외에 더 확실한 것이 없다.12.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성경의 증거는 어떻게 말 씀하고 있는가를 말하라.성경은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서 증거(證據, Evidence)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존재에 대하여 선언(宣言, Declaration)을 하고 있다.“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고 하신 말씀이나 (창1:1),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히11:6).이상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은 만물을 창조하신 분이라는 사실과, 그가 지으신 세계만물이나 모든 나라들을 다스리시고 섭리하시는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알게 한다.13.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본질(本質)에 대해서 말하라.1). 하나님은 순결한 영이시다.2). 하나님은 인격적인 신이시다.3). 하나님은 무한 완전하신 신이시다.4). 하나님은 단일하신 신이시다.014. 우리가 하나님을, 하나님, 아버지, 주라고 할 때 에 각각 지닌 뜻을 말하라.1). “하나님”이라고 할 때에는 보편적인 의미에서의 호칭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유신론의 입장이라고 할 수 없다.2). “아버지”라고 할 때에는 관계(關係,)Relation)를 나타내는 말로서 하나님을 아버지로 믿는 신자(信者)들만이 쓰는 호 칭이다.3). “주”라고 부를 때에는 주인과 종이라는 관계를 두고 이르는 말로서 나의 모든 주권을 하나님께 전적으로 넘겨버리고 죽던지 살던지 하나님의 소유물로서 자기를 드린다는 뜻으 로 호칭하는 이름이다.15. 하나님의 절대적인 속성이란 어떤 것인가를 말 하라.하나님의 절대적인 속성(屬性, Attribute)이란 하나님만이 가지시는 성품으로서 하나님의 자존적 독립성 (自存的 獨立性), 하나님의 불변성(不變性), 하나님의 무한성(無限性), 하나님의 단순성(單純性)을 두고 하는 말이다.16. 하나님의 보편적인 속성에 대해서 말하라.하나님의 보편적인 속성이란 사람에게 넘겨주실 수 있는 전이적(轉移的)인 속성으로서 하나님의 지식(知識), 하나님의 지혜(智慧), 하나님의 선(善), 하나님의 사랑, 하나님의 거룩, 하나님의 의(義), 하나님의 진실성(眞實性) 등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17.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적 능력 (能力)에 대해서 말하라.1). 하나님은 거짓말을 하실 수 없으시다 (마23:19, 히6:18).2). 하나님은 그의 약속을 변개(變改) 하실 수 없으시다 (삼상 15:29, 히6:17).3). 하나님은 변심(變心)이나 자신을 부인(否認)하실 수 없으 시다 (딤후2:13).4). 하나님은 변(變)함이 있을 수 없으시다 (약1:17).18. 삼위일체 하나님이라는 말의 뜻을 말하라.하나님의 본질적 존재(本質的 存在)는 한 분이시지만 한 분의 하나님 안에 권능과 지혜와 성품과 옳으심이 같은 성부(聖父) 하나님과, 성자(聖子) 하나님과, 성령(聖靈) 하나님이라고 하는 세 위격(位格)이 존재한다는 교리로서 기독교의 신비교리(神秘敎理)가운데 가장 어려운 교리이다.19. 하나님의 작정에 대한 특성을 말하라.“모든 일들을 마음의 원대로 역사 하시는 자”라고 하신 말씀에 근거하여 (엡1:11), 하나님의 작정(作定)에 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1). 그것은 하나님의 신적 지혜에 기초한다.2). 그것은 영원적(永遠的)인 것이다.3). 그것은 효과적(效果的)인 것이다.4). 그것은 불변적(不變的)인 것이다.5). 그것은 무조건적(無條件的)인 것이다.6). 그것은 포괄적(包括的)인 것이다.7). 죄에 대해서는 허용적(許容的) 이시다.20. 하나님의 작정에 대한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에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말하라.“하나님의 작정이란, 그 뜻대로 하신 영원한 경륜인데, 이로 말미암아 자기의 영광을 위하여 모든 되어지는 일을 미리 작정하신 것이다”.21. 하나님의 예정(豫定)의 특성을 말하라.하나님의 예정(豫定, Predestination)이란, 항상 하나님의 주권(主權) 적인 선택(選擇, Election)과 하나님의 의로운 유기(遺棄, Re-Probation)라는 하나님의 경륜을 뜻하는 교리이다.22. 하나님의 창조 개관을 말하라.1). 창조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이다.2). 창조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동이다.3). 창조는 하나님의 시간적인 행동이다.4). 창조는 무(無)로부터 유(有)를 발생(發生)시키는 하나님의 행 동이다.5). 창조는 의존적(依存的)인 존재를 발생시키는 일이다.6). 창조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이다 (창1:31).23. 천사들의 직무(職務)에 대해서 말하라.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천사들의 직무로는 일반직무에서 하나님 찬양, 성도들의 보호, 죄인의 회심 도움, 교회 안에 임재, 그리고 신자들을 인도하는 것이며, 특별 직무로는 하나님의 특별 계시를 중재하며, 하나님께서 주시는 복을 전달하고, 하나님의 심판권 행사에 조력하는 것으로 되어있다.24. 하나님의 6일 창조에 대해서 말하라.첫째 날, 빛(光)둘째 날, 궁창(穹蒼)셋째 날, 바다(海)와 육지(陸地)넷째 날, 해(日), 달(月), 별(星), 시(時), 날(日), 월(月), 년 (年), 사시 계절 (四時季節)다섯째 날. 새 (조류(鳥類), 물고기 (어류(魚類)여섯째 날, 동물(動物)들, 사람(인간(人間)25. 일곱째 날에 대해서 말하라.하나님께서는 육일동안에 인간을 포함한 천지 만물 모든 것을 다 만드시고 일곱째 날에는 쉬시면서 안식(安息) 하셨을 뿐만 아니라 이 날을 복(福)주시고 거룩하게 성별(聖別)하게 하셨다.26.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고 하 신 말씀이 지닌 창조 시작에 대해서 간단히 설 명하라 (창1:1).1). 하나님이 계신다는 자기 존재의 계시(啓示, Revelation)2). 종속적(從屬的)인 존재(存在, Existence)의 시작 3). 시간(時間, Time)의 시작4). 형식(形式, Formality)의 시작27. 하나님의 인간 창조에 대해서 설명하라.1).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합의(合議) 하에 만드셨다.2).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모형(模型)으로 하셨다.3). 흙이라는 기존재료(旣存材料)로 육신을 만드시고, 하나님의 생기(生氣)를 불어넣어서 생령(生靈, Living Being) 곧 영혼 을 만드셨다.4). 처음부터 만물의 영장(靈長)으로서의 특권을 주시겠다는 경 륜(經綸)을 가지시고 만드셨다.5). 하나님께서는 결국 하나님께서 만드신 피조물(被造物)의 세 계에 대한 지배권을 인간에게 주시기로 하고 만드셨다.28. 하나님의 창조 목적을 성경은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라고 하셔서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 곧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라는 것을 쉽게 알게 한다 (창1:31).29. 하나님의 섭리 뜻을 간단히 말하라.하나님의 섭리(攝理, Providence)란 하나님께서 그의 통치(統治)의 목적을 달성하시기 위해서 세우신 규정(規定) 또는 피조물들을 위한 하나님의 돌보심을 이르는 말이다.30. 하나님의 섭리의 개관(槪觀)을 말하라.하나님께서 그가 만드신 피조물들을 보존(保存)하시고, 세계에 생성(生成)하는 모든 일에 행동하시며, 만물을 그의 정하신 목적(目的)대로 인도하시는 사역으로서,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보존(保存, Preservation)과, 하나님의 협력(協力, Concurrence)과, 하나님의 통치(統治, Government)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31. 하나님의 통치(統治)의 범위(範圍)를 말하라.성경은 하나님의 통치가 보편적(普遍的)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시22:28-29, 103:17-19, 단4:34-35, 딤전6:15).하나님께서는 가장 하찮은 일들을 비롯하여 (마10:29-31), 우연한 일들과 (잠16:33), 사람들의 악한 행실들과 (행14:16), 선한 행실들과 (빌2:13), 그 외에 열국(列國)의 모든 일을 다 간섭(干涉)하시고, 그의 통치권(統治圈) 안에 두셨기 때문에 하나님의 통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32.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비상섭리(非常攝理, Extraordinary Providence)로 나타난 이적(異蹟, Miracle)의 목적에 대해서 말하라.1). 하나님께서는 항상 살아 계신다.2). 하나님께서 이 이적의 사건 속에 개입하고 계신다.3). 하나님께서 이 이적을 베푸는 사람과 함께 하신다.4). 이 이적을 행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다.제3부. 인간론 (人間論) 33. 교의학에서 인간론의 위치(位置)를 말하라.성경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의 창조의 면류관(冕旒冠)인 인간을 중심으로 기록되어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그리고 하나님의 계시(啓示) 역시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를 논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교리로서 신론(神論) 다음에 인간론(人間論)을 두는 것은 당연한 순서(順序)라고 생각한다.34. 일반 인류학(人類學)에서 말하는 인간학(人間學) 의 내용을 말하라.1). 인류의 기원(起源, Beginning)2). 인류의 역사(歷史, History)3). 인간의 생리학적 구조(生理學的構造, Physical Structure)4). 인간의 정신적 (精神的特徵, Physical Distinctive)5). 인종학적 (人種學的, Ethnological)6). 언어학적(言語學的, Lingustics)7). 문화적(文化的, Cultural)8). 종교적(宗敎的, Religious)9). 기타 (其他, Others)35. 인간의 본질적 요소를 이분설(二分說)로 주장하 는 뜻을 말하라.성경의 말씀을 근거로 사람은 육체(肉體,Body)와 영혼(靈魂,Soul)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설이다(마6:25, 10:28, 전12:7, 고전5:3, 5).영과 혼이라는 설은 사람에게 영과 혼이라는 두 요소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인간의 한 영적 실체(靈的實體, Spiritual Essence )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36.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인간의 기원(起源)에 대 해서 말하라.성경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심에 있어서 하나님의 경륜(經綸, Counsel)에 따라서, 하나님의 직접적인 사역으로, 하나님의 형상(形象)을 닮은, 흙이라는 기존 재료와, 하나님의 생기(生氣)를 코에 불어넣어서, 높은 지위(地位, 만물의 영장)를 주시기로 하고 지으셨다 (창1:26).37. 영혼의 기원에 대해서 어떤 설들이 있으며 우리의 입장을 말하라.영혼의 기원에 대하여 선재설(先在說, Pre-Existentianism), 유전설(遺傳說, Hereditism), 그리고 창조설(創造說, Creationism)이 있는데 우리는 하나님에 의한 창조설을 믿는다.38.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인류의 통일성(統一性) 에 대해서 말하라.성경은, “인류의 모든 족속(族屬)을 한 혈통(血統)으로 만드사..,”라고 말씀하심으로서 (행17:26), 세계의 전 인류가 범죄하기 전부터 계속해서 하나의 혈통으로 통일성을 가지고 인류의 구원에까지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해 주고 있다 (롬5:12, 19,고전15:21-22). 아담 안에서 모든 인류는 한 혈통으로서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다.39.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이 하나님을 닮았다 는 말은 무슨 뜻인가 ?1). 모습(貌習)에서 하나님 닮았다.2). 속성(屬性)에서 하나님 닮았다.3). 이성(理性)에서 하나님 닮았다.4). 생명력(生命力)에서 하나님 닮았다.5). 영혼(靈魂)에서 하나님 닮았다.그러나 이를 더 간단히 쉽게 말하면, 영원히 죽지 않는 영생하는 생명력(生命力)과, 만물의 영장(靈長)으로서의 이성(理性)이 하나님을 닮았다고 압축해서 이해해도 될 것이다.40. 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이루어 진 행위언약에 대 해서 말하라 (창2:16-17).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이루어 진 행위 언약의 상징(象徵)은 선악과(善惡果)였고, 조건(條件)은 순종(順從)이었으며, 하나님의 요구(要求)는 책임(責任)이었고, 결론은 타락(墮落)과 사멸(死滅)이었다.41. 죄의 기원에 대한 어거스틴(Augustin)의 견해 곧 우리의 입장이 무엇인가를 말하라.하나님은 죄의 조성자(造成者)가 아니며, 죄는 천사의 세계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전 인류는 아담 안에서 다 죄인이다.42. 죄의 본질(本質)에 대해서 말하라.1). 죄는 특별한 악(惡)이다.2). 죄는 절대적인 특질(特質)을 갖는다.3). 죄는 항상 하나님과 그의 의지(意志)에 관계되어 있다.4). 죄는 죄책(罪責)과 오염(汚染)을 내포한다.5). 죄는 그 자리를 사람의 마음에 두고 있다.6). 죄는 외부적인 행위로만 되어있지 않다.43. 아담의 죄와 그 후손들의 죄와의 관계를 말하라.죄에 대한 문제를 두고 몇 가지의 설이 있는데, 첫째는 실재설(實在說, the Theory of Existence)이 있고, 다음에는 간접 전가설(間接轉嫁說, the theory of Mediate Imputation)이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직접 전가설 (直接轉嫁說, The Theory of Immediate Imputation)이 있는데, 우리는 아담을 인류의 대표요 머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전가 설을 지지한다.44. 인간의 원죄(原罪)와 자유에 대해서 말하라.인간은 그가 책임져야 할 도덕적인 행위자가 되는데 필요한 구조적(構造的)인 기능들을 상실한 것은 아니다.사람에게는 타락 후에도 이성(理性, Reason)이 있고, 양심(良心, Conscience)이 있고, 선택(選擇, Choice)의 기회는 주어져 있다.바로 이러한 것들이 사람의 책임으로 되어있다.45. 아담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이 죄 아래 있다는 뜻 이 무엇인가를 말하라.사람에게는 누구나 아담으로부터 물려받은 원죄(原罪)가 있고, 자기 스스로가 지은 자범 죄(自犯罪)가 있다는 말이다..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다 죄 아래 있기 때문에 항상 하나님 앞에서 회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46. 하나님의 형벌(刑罰)의 본질과 목적을 말하라.하나님께서는 범죄자를 형벌 하시므로 하나님의 의를 들어내고, 하나님의 정의(正義)를 수호하며, 죄인을 교정(矯正)하고, 인간이 더 이상 죄를 짓지 못하도록 억제(抑制)하는데 형벌의 목적을 둔다.47. 하나님의 속죄 언약에 대해서 말하라.하나님의 속죄 언약은 원 복음으로 통하는 창세기 3장 15절의 말씀과, 구원 언약의 기초가 되는 스가랴 6장 13절의 말씀을 근거로 하고 있다.삼위일체 하나님께서는 처음부터 타락한 인간을 구속하시기 위하여 스스로 언약을 세우시고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각각 그 사역을 맡아서 성사시키신다.48. 슥6:13절을 중심으로 한 속죄 언약의 성격(性格) 을 말하라.우리가 신학에서 말하는, “구속 언약” (救贖 言約, Redemptional Covenant)이라는 용어의 근거를 스가랴 6장 13절에 나오는, “평화의 의논” (The Counsel of Peace)이라는 말씀에서 찾는다.이 말씀이 지닌 그대로의 뜻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 사이에서 이루어진 협약(協約)이지만 그것이 지닌 교의적인 뜻은, 성부 하나님은 발기자(發起者)로, 성자 하나님은 시행자(施行者)로, 성령 하나님은 적응자(適應者)로서 구속 언약을 이루시고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구원 사역을 시행하셨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다.49. 속죄 언약에 있어서 성부가 성자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무엇인가를 말하라.1). 그리스도는 여인의 몸을 통하여 사람이 되어야 한다 (갈 4:4-5, 히2:10-11, 14-15, 4:15).2). 그리스도는 율법보다 우월한 하나님의 아들이면서도 율법 아래 두어야 한다 (시40:8, 마5:17-18, 요8:28-29, 갈 4:4-5, 빌2:6-8).3). 그리스도는 성령의 역사를 통하여 그의 백성들을 회개 시 키고, 믿음을 부여하여 중생 시킨 다음 하나님께 충성케 하도록 한다 (요10:16, 16:13-15, 17:12, 19-22, 히 2:10-13, 7:25).50. 구속 언약과 은혜언약과의 관계를 말하라.1). 구속의 의논은 역사적인 은혜 언약의 원형(原形)이다.2). 구속의 의논은 은혜 언약의 기초(基礎)가 된다.3). 구속의 의논은 은혜 언약을 유효(有效)하게 한다.51. 은혜 언약과 행위 언약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 교하라.1). 유사점 (類似點)첫째, 언약의 창시자(創始者)는 하나님이시다.둘째, 그 언약의 당사자(當事者)는 하나님과 인간이다.셋째, 그 언약의 형식이 다 외형적(外形的)이다.넷째, 그 언약의 내용은 영생(永生)이다.다섯째, 그 언약의 종국적인 목적(目的)은 하나님의 영광2). 차이점 (差異點)첫째, 구속 주와 아버지로 나타난다.둘째, 그리스도 안에서만 언약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 셋째. 언약의 성격은 순종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넷째, 믿음으로 계명을 지켜야 한다.다섯째, 계시를 통해서만 언약의 이해가 가능하다.52. 은혜 언약의 특성(特性)을 말하라.1). 그것은 은혜로운 언약이다.2). 그것은 삼위일체 적인 언약이다.3). 그것은 영원한 언약이다.4). 그것은 특별한 언약이다.5). 그것은 동일성을 갖는 언약이다.53. 그리스도와 은혜 언약과의 관계를 말하라.성경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언약의 중보자가 되신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그리스도가 중보자가 되신다는 말은 여러 가지의 뜻을 갖는다.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인간들 사이에 개입하시는 것은 하나님께 인간의 화평(和平)을 청하고, 이를 완성시키시기 위하여 스스로 십자가 위에서 못 박혀 죽으시므로 인간들의 죄 값을 지불하시고 인간의 구원을 완성시킨다.54. 언약 안에 있는 회원(會員)이란 누구를 두고 하 는 말인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는 회원이란 보편적인 의미에서 신앙 고백을 통해서 언약 안에 있는 성인(成人)들과, 언약 안에 있는 신자(信者)의 자녀(子女)들과, 언약 안에 있는 비 중생자 (非重生者)들을 이르는 말이다.55. 구약 시대의 언약을 말하라.1). 언약의 최초 계시는 창3:15절에 나오는 원 복음 (原福音, The Maternal Promise)에 근거한다.2). 노아와의 자연 언약 곧 무지개 언약 (창9:).3). 아브라함과의 믿음의 언약 (창12:).4). 모세와의 시내 산 언약 (모세 오경).제4부. 기독론 (基督論) 56. 인간론과 기독론과의 관계를 말하라.인간론과 기독론은 불가분리적(不可 分離的)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인간론에서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심을 받은 사람은 모든 피조물들의 꽃이요 면류관(冕旒冠) 이었는데, 하나님과의 생명 언약을 어기고 타락하여 영원한 형벌 아래 놓이게 되었다.그러나 제2위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동정녀(童貞女) 마리아를 통하여 사람의 몸을 입으시고 성육신(成肉身)하시고, 사람들의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심으로 인간들을 구원해 주셨다. 바로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 언약의 성취인 동시에 인간의 구원이기 때문에 인간론과 기독론은 절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57.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칭들 에 대해서 말하라.예수, 그리스도, 인자, 신자, 주, 하나님의 아들, 사람의 아들, 슬픔의 사람, 영광의 주, 메시아, 중보자, 선지자, 제사장, 왕58. 제2위 하나님을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라고 호칭을 하는데 이에 대한 깊은 뜻을 말하라.예수라는 이름은, “저희 백성을 저희 죄 가운데서 구원하실 자이심이라”라고 하신 말씀에 근거하여 마1:21), 우리 생명의 회복자로 부르는 호칭이고, 그리스도라는 이름은, “기름 부으심을 받은 자”라는 의미에서 구약 성경대로 이 기름은 선지자, 제사장, 왕들에게 붓는데 곧 예수 그리스도의 직무와 관계되는 호칭인데, 이는 곧 처음 인간 아담이 만물의 영장으로서 하나님께서 지으신 피조물의 세계를 지배할 수 있는 선지자 적, 제사장 적, 왕 적인 권위를 가졌으나 범죄하고 타락하여 이 직위를 박탈당하게 되었는데 제2위 하나님께서 그리스도가 되셔서 이 지위를 다시 회복시켜 주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가장 보편적인 호칭 법으로, “예수 그리스도”라고 부르게 된다.59. 예수 그리스도의 성질을 말하라.예수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이시면서 참 사람으로서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을 다 가지셨으나 죄는 전혀 없으신 참 하나님이시오 참 사람이시다.60. 왜 예수 그리스도에게 신인(神人) 양성이 필요한 가를 말하라.범죄하고 타락하여 영원히 죽게 될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는 죄가 없는 사람이어야 하겠는데 세상에는 죄 없는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으므로 제2위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람의 몸을 입으시고 죄인들 속에 오셔서 죄인들을 구원해야 하겠으므로 죄 없는 사람으로서 사람들 속에 오셨으니 그에게는 신인(神人) 양성이 있어야 했다.61. 그리스도의 낮아지신 (卑下) 신분과 높아지신 (昇貴) 신분을 말하라.1). 낮아지신 비하(卑下)의 신분첫째,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사람으로 탄생둘째, 그리스도의 사람으로서의 고난셋째, 그리스도의 죽으심넷째, 그리스도의 장사(葬事) 지냄다섯째, 그리스도의 음부 강하(陰府降下)2). 높아지신 승귀(昇貴)의 신분첫째, 그리스도의 부활(復活)둘째, 그리스도의 승천(昇天)셋째,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보좌(寶座) 우편에 앉으심넷째, 그리스도의 육체적 재림(再臨)다섯째, 그리스도의 심판(審判)여섯째, 그리스도의 왕국 통치(王國統治)62. 그리스도의 삼중직(三重職)에 대해서 말하라.1). 선지자로서의 직분 (先知者, The Prophetic Office)2). 제사장으로서의 직분 (祭司長, The Priestly Office)3). 왕으로서의 직분 (The Kingly Office)63. 그리스도 속죄(贖罪)의 성질에 대해서 말하라.1). 그것은 하나님께 만족(滿足)을 드렸다.2). 그것은 대리(代理) 적인 속죄였다.3). 그것은 그리스도의 순종에 의해서 이루어졌다.64. 그리스도의 제한속죄에 대해서 말하라.성경은 분명히 그리스도의 속죄 효과가 어떤 제한 된 수 곧 자기의 백성 (마1:21), 자기의 양 (요10:11, 15), 자기의 교회 (행20:28, 엡5:25-27) 그리고 하나님께로부터 택하심을 받은 자들에게만 효과가 있다고 말씀하고 있다 (롬8:32-35).65. 속죄 교리에 대한 잘 못된 이론(異論)들을 말하라.1). 사탄의 속죄 설 (그리스도께서 사단에게의 속전(贖錢)했다.2). 안셀름의 속죄 만족 설3). 도덕적 감화설 (The Moral Influence Theory)4). 모범설 (模範說, The Example Theory)5). 통치설 (統治說, The Governmental Theory)6). 신비설 (神秘說, The Mystical Theory)7). 대리 회개설 (代理 悔改說, The Theory of Vicarious Repentance)66. 하나님과 관련된 속죄의 효과를 말하라.1). 그리스도의 속죄로 인하여 하나님의 속죄 애(贖罪愛)를 통 한 인격과의 관계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2). 그리스도의 속죄로 인하여 하나님의 진노(震怒)의 대상 이 였던 자들과의 화목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3). 그리스도의 속죄가 계약적(契約的), 형벌적(刑罰的)인 측면 에서 하나님의 공의(公義)와 율법(律法)의 요구를 모두 만 족 시켰다.4). 그리스도의 속죄는 죄인의 용서와 하나님의 구속적 사랑의 발현(發現)을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障碍物)을 모두 제거 (除去)했다.67. 그리스도와 관련된 속죄의 효과를 말하라.그리스도의 속죄는 예수 그리스도에게 다양한 상급(賞給)을 확보시켜 주었다.신자들에게는 생명을 주는 영(靈), 죄인들의 구원의 복(福)을 주 시는 원천(源泉)이 되었고 그에게는 많은 보상(報償)이 따르게 되었다.1). 현재의 메시아 적인 영광과 함께 하나님의 영광을 받게 되 었다.2). 그의 백성들에게는 은혜의 충만함을 베풀어주게 되었다.3). 그의 신비적(神秘的)인 성령의 은사를 나누어주게 되었다.4).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에게 세계의 모든 통치권(統治權)을 넘겨주셨다.68. 죄인들에 대한 속죄의 효과를 말하라.1). 죄인들의 구원을 견고(堅固)하게 해 주셨다.2). 그리스도를 통해서 속죄(贖罪) 받은 자들에게 칭의(稱義)를 통한 사죄(赦罪)와 양자(養子)됨과 영원한 기업의 권리를 확보하게 해 주셨다.3). 그리스도인들에게 중생과 성화를 통한 그리스도와의 신비 적인 연합(聯合)을 이루게 해 주셨다.4).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친교(親交)하게 되어 영원한 생명을 향유하게 해 주셨다.69. 그리스도 속죄의 범위에 대해서 말하라.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범위(範圍)는 모든 사람에게 다 해당 된 것 같으나 사실은 하나님의 백성(百姓)과, 하나님의 양(羊)들과, 하나님의 교회(敎會)와, 하나님의 선택(選擇)을 받은 자들에게로 제한(制限)된다.70. 제한 속죄론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1). 하나님의 계획이 확실하다.2). 예수 그리스도의 묘사(描寫)를 통해서 말씀하고 있다 (요 10:11, 15, 행20:28, 엡5:25-27, 마1:21, 롬8:32-35).3).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이 이를 증명한다 (요17:9).4). 교리적인 논리에 부합한다.5). 속죄 적용의 특수성(特殊性)이 이를 증명한다 (마18:11, 롬 5:10, 고후5:21, 갈1:4, 3:13, 엡1:7).6). 인간의 구원은 조건부적(條件附的)인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無條件的)이다 (롬2:4, 갈3:13-14, 딤후5:3-6).제5부. 구원론 (救援論) 71. 구원(救援, Relief, Salvation)이라는 말이 지니고 있는 뜻을 말하라.일반적인 의미에서 구원이라는 말이 지니고 있는 뜻은 회복(回復, Recovery), 구속(救贖, Redemption), 갱신(更新, Renewal)이라는 의미를 함께 포함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72. 구원론에 있어서 성령의 일반적인 사역에 대해서 말하라.1). 성령께서는 자연의 영역에서 유기적(有機的)이고, 지적(知 的)이고, 도덕적(道德的)인 모든 삶의 변화를 주신다.2). 성령께서는 모든 변화(變化) 속에서도 자기 운명의 길에서 걸어가게 하신다.3). 성령의 일반적인 사역을 통해서 특별사역을 진척(進陟)시켜 나아가신다.73. 성령의 일반적인 사역과 특별 사역과의 관계를 말하라.1). 구속의 영역에서 신생(新生)을 일으키시고, 발전하게 하도 록 하나님의 섭리(攝理)를 돕는다.2). 죄의 권세를 극복(克服)하고, 새롭게 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도록 도우신다.3). 중생인(重生人)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목적에 부응하도록 규 제(規制) 해 주신다.74. 은혜라는 말이 성경의 용어로 어떻게 쓰여지고 있는가를 말하라.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은혜(恩惠, Grace)라는 용어가 항상 똑 같은 의미에서만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뜻으로 쓰여지고 있다.즉 자비(慈悲)로움 (Merciful), 아름(美)다움 (Beauty), 은공(恩功, Favour), 호의(好意, Good-Will) 등의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75. 구속 사역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말하라.1). 은혜는 하나님의 속성(屬性)이요, 신적 완성 중의 하나이다.2). 은혜라는 단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안에서만 사 용되고 있다.3). 은혜라는 단어는 성령에 의해서만 발현(發現)된다.76. 하나님의 교회에 있어서 은혜론을 말하라.1). 은혜는 하나님의 사랑에 근거하고 있다.2). 은혜는 하나님의 선물(膳物)로서 인간의 본성 회복과 성화 (聖化)로 나타난다.3). 은혜는 인간의 공로(功勞)를 완전히 배제(排除)한다.77 하나님의 보통 은혜와 특별 은혜에 대해서 말하라.하나님의 보통 은혜란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람이 살아가기 위한 일반적인 덕목(德目)의 행동으로서 겸손(謙遜), 순종(順從), 온유(溫柔), 절제(節制), 근면(勤勉), 사랑 등에 대한 것이나, 이에 비하여 하나님의 특별 은혜란 하나님의 선택적(選擇的)인 의미에서 해석되고 설명되어야 한다.하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일반 은혜에 의해서 살아가게 하시고, 특별 은혜의 방법으로 구원과 특별 은총의 기적(奇蹟)을 일으키게 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