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교회와 예배[1]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건강한 교회와 예배
경제 성장과 함께 개척 교회수가 늘어나면서 많은 목회자들의 관심이 양적 교회성장에 쏠리기 시작했다.미국의 교회 성장에 관한 책들과 성장한 교회의 사례들을 소개한 책자들이 1990년대 초까지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전도 중심의 사역과 주말 구도자 예배를 통해 교회 성장을 이룬 미국의 윌로우 크릭교회와 같은 교회들이 한국교회에 소개되면서 그 동안교인들의 이동을 통해 성장해 왔던 교회들이 전도 중심의 열린 예배를 시작하게 되었다.그리고 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건강이라는 차원에서 21세기 건강한 교회를 세우기 위한 교회 갱신 운동들이 일어나기 시작했다.21세기와 한국교회교회가 가지고 있는 복음의 메시지는 영원하지만, 교회가 세상 속에서 복음을 전달하는 사역의 방식은 시대와 문화마다 다를 수 있다.오늘날, 교회가 의도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사회 속에서 복음으로 사람들을 변화시키려는 사명과 열정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교회 안으로 인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아직도 19세기의 사역 방법론을 고수하며 현대인들에 복음을 전하려고 하는 한국교회들이 많다.이제 한국교회는 21세기에 맞는 교회 지도력, 교회구조, 교회의 영성, 목회의 기술 등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교회와 현대 문화유럽과 북미에 있는 기독교 국가들은 선교사를 파송하는 선교 국에서 다시 재 복음화 되어야 할 피 선교 국으로 변화되었는데 이유는 두 가지다.물질주의적 세속화와 기계문명으로 인한 현대성 때문이다.두 번의 세계대전은 서구 문화와 기독교에 세속화를 가져왔고, 세속화된 사람들은 더 이상 기독교와 기독교 문화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오늘날과 같은 세대에 이르게 되었다.조지 갤럽 조사에 의하면 미국에서 기독교 교육을 전혀 받지 않은 사람들이 1952년에는6%, 1965년 9%, 1978년 17%, 1988년 18%, 21세기는 약 30^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두 번째 요인은 기술문명을 통한 현대성 때문이다.18세기 계몽주의와 이성주의에서 시작되었는데 300년 동안 사람들은 기독교 신앙의 가르침보다는 지성주의 의 가르침을 많이 다르게 되었다.조지 헌터는 여덟 가지 계몽주의 철학이 현대인의 시성을 경정했다고 말하고 있다.1) 인간은 이성을 가진 존재이다.2) 인간은 본래 선하다3) 뉴턴이 중력의 법칙을 발견한 이후 세상은 기계적인 일정한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4) 인간 삶의 규범과 기준은 본래 가지고 있는 이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어떤 신의 계시 종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5) 사회와 국가는 교회의 어떤 계시적인 가치나 영적인 지도력이 없이도 인간의 이성만으로도 건설 될 수 있다.6) 교육과 과학으로 가난과 범죄, 전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7) 모든 인간의 문제는 반드시 이성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는 더욱 발전된 인간 사회를 이룰 것이다.8) 모든 종교는 동일한 자연종교(Natural religion)로, 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들은 표면적으로는 다르게 보이나 내면 깊은 교에는 모든 종교가 동일하고, 모든 종교는 본래 인간의 마음에 있는 종교적 의식과 심성에서 시작된 것이다.그러나 더 이상 서구 현대 주의의 지성적인 사고 방식을 따를 수 없는 이유가 있다.첫째, 2차 세계대전에 서 유대인을 학살하는 인간의 악함을 보고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가 될 수 없고, 그 본성이 본래적으로 선하다는 사실에 의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둘째, 과학의 발달로 우주의 발견과 우주의 신비로 인해 사람들이 과거보다 신비적이 되고, 초자연적인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데이비드 버네트는 그이 저서에서 이것은 세속주의에서 떠나고자 하는 후기 현대인들의 증상 중 하나이며, 기독교 전 시대의 유럽 고대 종교와 샤머니즘, 점성술, 사탄주의 동방의 종교들 현대의 과학과 심리학가지 동원하여 혼합되고 있는 하나의 후기 현대 시대의 종교라고 성명하고 있다.현대에 와서 종교학자들은 모든 종교가 표면적으로 동일하지만 내면에 있어서는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특히 기독교는 모든 종교와 특이하게 다르고 모든 종교와 다른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후기 현대에 와서 발견하기 시작하였다.성장이 정체된 미국교회근본주의자(Fundamentalist)들은 현대인의 삶의 형태가 변화하고, 독립적인 내부적 문화들이 각각 다른 조직체들과 함께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려고 했다. 보수주의적 복음주의자(Conservative evangelical)들은 현대화의 여러 가지 혜택을 수용하여 복음을 전하는 데 도구로 사용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는 현대의 왜곡된 세속주의적인 것들을 배척했다. 이들의 약간의 공헌을 했다고 보아야 한다. 그 중에서도 세 번째 그룹 곧 미국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대 교단은 현대화를 이루는데 직접적인 공헌을 했다. 기독교 사립학교와 기관 설립을 통해서 그리스도인 문화를 발전시키고, 세속적인 기관 등에 정신적인 압력과 영향을 주었다. 대 교단의 영향이 계속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 인본주의와 신 정통실재주의 그리고 실존주의로 인한 복음의 변질을 가져오지 않으면 안 되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30년 동안 복음주의 교회와 자유주의 노선의 교회들이 모두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fry회 성장 전문가인 윈안(Win Arn)에 의하면 1988년 "미국의 교회 중 80%에서 85%가 침체하고 있거나 하락하고있다고"고 말한다. 미국의 1억 4천만 인구 중 0천 6백만 명(40%)이 종교가 없으며, 7천 3or만 명(31%)은 명분상의 기독교인들이라고 말하고 있다 미국 전체 인구의 71%인 1억 6천 9백만 명이 복음 전도의 대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복음주의 교단의 대표인 남침례 교단도 성장이 중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보수교회들이 성장한 것은 교회 성장 학에서 말하고 있는 소위 이동성장과 생물학적 성장 요인 때문이며, 회심성장에 의한 성장이 아니다.미국의 현재 성장하는 교회들은 신학적으로 자유주의 교회들보다는 보수적인 교회들이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하나님의 성회(Assembly of God), 하나님의 교회(The Church of God, Cleveland), 기독교연합선교회(Christian Missionary Alliance)등이 성장하는 교단으로 알려져 있다.이러한 교단들이 교회를 계속적으로 개척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은 초기 사도시대이전 시대에 있다고 볼 수 있다.기독교교회 이제 점차 붕괴되어 가고 있고 유럽과 북미는 급속도로 세속화되어 가가고 있다.지금 이 시대는 초대교회의 사도시대와 같이 복음을 다시 전하지 않으면 안 되는 21세기 사도시대가 된 것이다.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이제는 밭이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으며(요4:35),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군이 적은 시대(눅10:2)가 되었다.1) 서구 사회의 세속화와 계몽주의의 실패로 인하여 서구사회는 다시 추수할 밭이 되었고, 더 많은 사람들이 영적인 민족을 위해 더 희구하고 갈구하고 있다.2) 추수하지 목하고 있는 것은 추수에 대한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교회가 기존 교인들에 대한 양육에만 관심을 갖고 불신자들을 전도하는 일에 대한 관심이 없으며, 교회 지도자들은 교회 밖의 사람들을 모르고 있다.3) 추수할 일군이 전가. 복음전도에 대한 훈련은 많이 있지만 실제로 복음을 전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교인이 약 20%가 전도 훈련을 받을 경우 그 중 약1%만이 실제로 전도하는 것으로 나타남 세상이 변한 사실을 교회는 알지 목하고 과거의 방식으로만 전도하려 하고 있다.전도는 반드시 전도 대상자의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루어져야 효과적인 전도를 할 수 있다.미국의 성장하는 교회엘머 타운즈의 혁신적인 교회의 특징1)혁신적인 방법론을 창출하는 교회문화에 영향을 주는 교회의 혁신적인 프로그램 구상의 다섯 가지 원리(1) 사람들의 사상과 삶의 스타일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고, 그들을 어떻게 전도할 수 있는가를 아는 것이다.(2) 이러한 사람들을 전도하기 위한 혁신적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새로운 기술을 상용하는 것이다.(3)과거에 사용해 온 비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과감하게 단절해 버리는 것이다.(4)변화에 두려움 없이 방법의 유통성을 과감하게 시도하는 것(5)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의 예민한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2)젊은이를 대상으로 사역하는 교회베이비 부머(Baby boomer)불리는 젊은이들은 낙관적이고, 현세 중심의 철학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1946년에서 1964년 에 태어난 30대와 40대 또는 50대 초반의 사람들이 정치, 경제 게의 중요한 요직에서 중대한 결정을 하고 있으며, 대형 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는 것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다양한 문화적 물질 자원과 정신 문화를 통해서 영향을 받고 있다.이민교회의 경우 2세 교회 교육과 사역에 대한 분명한 비전과 그들을 교회 안으로 인도하여 신앙으로 육성할 수 있는 강력한 프로그램의 대체 없이는 교회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교회는 언제나 젊은이들과 학생들이 있어야 교회의 비전과 역사를 이어 나갈 수 있다.3)혁신적인 지도력이 있는 교회존 맥스웰(John Maxwell)목사는 미래 교회의 담임 목회자의 사역모습은 군대를 총지휘하는 총사령관과 같은 모습이라고 말한다.목회자는 사령관과 같이 휘하에 있는 부하 장교들과 같은 사역 자들을 지휘하여, 각자의 책무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교회는 반드시 사역 자들을 훈련시켜 교인 하나사람 한사람을 치료할 분만 아니라, 총사령관같이 전체 교회를 이끌어 나가야만 한다.혁신적인 교회들은 교회의 건물, 재산, 프로그램보다 목회자의 지도력과 팀사역을 통한 영적 지도력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교인들과 함께 하는 지도력을 말하며, 복수 적이다.목회자와 교인, 목자와 양, 지도자와 지도를 받은 자들의 연합적이고 복수 적인 지도력이다.한국교회의 성장 요인 중 하나는 교인들이 목회자에게 갖는 존경과 순조, 그리고 목회자의 강력한 영적 지도력이라고 할 수 있다.4) 영성이 있는 현대적인 예배를 드리는 교회예배에 참석하는 교인들이 자신의 영성을 표현하는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예배를 드리는 교회로 예배를 드리는 자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예배로 전화하고 있다.예배 시간, 예배 순서, 예배음악의 형태, 설교 스타일, 예배 장소와 같은 것들을 변형하고 있다.도상교회(Church on the Way잭 헤이 워드 목사는 오늘날 교회의 우선적인 과제는 예배의 갱신과개혁이라고 하였다.설교 중심보다는 예배의 모든 순서가 의미가 있고, 자신의 신앙적 표현을 할 수 있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 5) 시장성과 소비자 철학이 있는 교회사업적이 아니면서 사어업적인 철학을 도입하여 교회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미국의 혁신적인 교회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징은 목회자들이 교회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탁월하다는 점이다.지역주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내어 프로그램을 시장성 있게 개발하여 소개한다.복음 전파를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광고가 있어야 한다.부모들은 형태와 기능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예배 형태의 탁월성을 추구해야 하며, 복음의 메시지는 반드시 살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2세기의 교회는 다양한 변화 속에서 대응하며 성장할 수 있는 교회 일 것이다.불신자 전도에 초점을 맞춘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 혁신적이 교회들의 특징인 것이다.사도 적인 건강한 교회. 신약에 나타나 있는 의미대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불신자들에게 보내심을 받는 교회. 초대 기독교회의 복음의 메시지와 신학에 근거하고 있는 교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하여 초대교회와 같이 전도대상장의 언어와 문화에 맞게 복음을 전하는 교회이다. 초대교회,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들, 현재의 제3세계 교회들과 같이 하나의 교회나 교단이 아닌 선 교적인 교회들로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가진 교회이다.조지헌터의 혁신적인 교회들의 특징1)후레이져 기념 연합감리교회(Frazer Memorial United Methodist Church in Montgomery, Alabama): 평신도 사역2)새소망교회(New Hope Community Church in portland, Oregon)1972년 미국의 소그룹 사역의 권위자인 데일 갤로위에(Dale Galloway)목사가 이 혼자와 가정 문제를 안고 있는 사람들을 치유하기 위한 목회를 시작하여 6,300명의 교인으로 성장한 교회로, 매년 500명의 새교인이 등록하고 있으며, 이중 80%가 새신 자들이다 레이 코튼(Ray Cotten)목사가 부임하여 소그룹 사역 중심의 목회를 하고 있다.3)윌로우크릭교회(Willow Creek Community Church, South Barrington, Il)주말 구도자 예배로 잘 알려진 열린 예배(Seeker Services)를 드림으로 불신자를 전도하는 전략적인 교회로 전세 게에 알려진 대표적 교회이다.주중에 기존 신자를 위해 두 번의 집회와 불신자들을 위한 주말 집회가 네 번에 걸쳐 있다.4)기쁨의 교회(Community Church of Joy, Phoenix, Arizona)불신자 전도 중심의 사역으로 개혁한 교회5)새들 백 교회(Saddleback Community Church, Lake Forest, CA)불신자 전도 중심으로 사역을 시작한 교회이다.16년 동안 57회나 교회 예배 장소를 이전하며 성장위의 언급된 교회들은 사도 적인 교회다.조지 헌터는 사도 적인 교회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1)성경 중심으로 교육하며 질적인 교인들로 성장시키는 교회2)기도 사역과 제자 후년 중심의 교회로 하나님의 역사를 기대하고 체험하는 교회3)불신자 전도에 주력하는 교회4)주님의 지상명령에 순종하는 것에 두고 세게 복음 화를 위해 사역하는 교회말씀과 기도와 전도와 지상명령에 순종하는 교회라고 한다.공통점).성경 말씀에 나타나 있는 대로 초신 자들과 기존 신자들을 다르게 다루고 있다..기도에 열심, 하나님의 역사를 기대한다..잃어버린 자들에 대한 열정과 교회 나오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잘 이해하며 알고 있다..주님께서 주신 지상 명령에 순종하며 책임을 다하려 한다. 그들은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을 불신자들에 복음을 전하는 것으로 삼고 있다..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상 사람들에 대한 동기 적인 비전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전도 대상자들의 언어, 음악, 문화에 잘 적응한다..소그룹 사역을 통해 모든 신자와 모든 구도자들이 함께 신앙 생활에 참여하도록 한다..은사에 따라 모든 평신도들이 사역에 함께 참여한다..모든 교인들이 양육을 받으며 목자의 은사를 받은 자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영적인 대화를 나눈다.불신자들과 교회에 나오지 안는 사람들을 위해 많은 사역을 하고 있다.사도 적인 교회란 다른 말로 바꾸면 불신자 전도 중심의 교회라 할 수 있다.교회의 모든 사역의 동기와 목적을 복음 전파에 두기 때문이다.한국의 교회들도 불신자들에게 의도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최대한의 방법을 동원해야 하고, 교회 사역의 초점을 전도에 두는 사도 적인 교회가 되어야만 한다.예배의 성경적 의미구약에서는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뜻에 따라 섬기고 경배하며 복종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으로 예배를 이해했다.(창18;2;대하29:30 욥1:20),신약에서는 4가지 기본 동사로 '라트류오'(latleuo)는 존경과 경배를 표현할 대 사용되는 용어이다(롬12:1; 빌3:3; 히12:38; 눅1:75).신약에서 '예배하다'(worship)로 종종 번역되지만, 대개는 '섬기다, 봉사하다'(serve)는 의미로 번역된다.하나님 앞에서 섬기며 봉사하는 것을 강조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예배 의식'(worship service)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금식과 기도로 하나님을 섬겼다(눅 2:37)고 한 예언자 안나의 예배가 좋은 예가 된다.프로스퀘네오(proskuneo):'향하여'라는 말의 '프로스'(pros)와 입 맞추다'는 말의 '퀘네오'(kuneo)의 합성어로, '존중하다' 또는 '존경하다'라는 뜻을 가진다(마4;10; 요4:24; 마2:2; 14:33) 신약성경에 60회 정도 사용되고 있는데, 요한계시록에만 20회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세보바이(sebomai)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헌신하는 감정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단어로, 신약에서 네 번이나 헌신적인 의미로 번역되어 있다(행13:43, 50;17:4, 17)유세베오는 경건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바울이 아덴에서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에게 예배를 드린다고 했을 때 이 단어가 사용되었는데, 실제 이 어원의 의미에 따르면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어떤 경건한 행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행17:23)바울은 과부된 자들에게 그의 자녀들 앞에서 경건한 행동을 가져야 하는 것을 교훈할 때에도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딤전5:4)신구약에 나타난 예배에 관한 교훈신령과 진정으로 하나님을 예배해야 한다.하나님을 예배하는 첫 번째 조건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것이다(요4:23).영적인 하나님과의 만남으로 거듭난 성도들만이 그들의 모든 존재의 N분으로 하나님을 예배해야한다.2)변화된 마음으로 하나님을 예배해야 한다.하나님께 드리는 행위의 표현이다(롬12;2)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본받아 예배해야 한다(빌2;5)3)주님을 기뻐하는 감정으로 예배해야한다.인격적인 예배 기쁨과 감사와 감격인 것이다(시100:1; 46:10)4)헌신된 의지를 가지고 하나님을 예배한다.자신의 의지를 바쳐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자세와 삶이 없는 예배는 하나님이 받으시는 예배가 될 수 없는 것이다.5)온 몸으로 하나님을 예배한다.무릎을 끓는 것(시95:6), 절하는 것(시95:6), 손을 드는 것(141:2; 딤전 2:8; 시64;4), 주님 앞에 경외함으로서는 것(시4:4), 손뼉을 치는 것(시47:1), 악기를 연주하는 것(시33:2;92:3; 98:6; 144:9), 소고를 치고 악기를 연주하는 것(시150:4), 주님 앞에서 춤을 추는 것(시150:4), 머리를 숙이는 것(창14), 우리의 머리와 눈을 드는 것(시3;3, 123:1), 그리고 기도하고 찬송하고 노래하고 기쁨으로 소리치는 것(시32:11; 47:6; 59:16; 66;8; 69;30; 98:1; 100:1-2; 132:9)이다.예배 최초행위는 가인과 아벨의 제사에서 찾을 수 있다.인간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기 위해 창조되었다.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의 죄를 위한 영원한 속죄 물로 주셨다.그러므로 하나님의 구속된 백성들은 그들의 모든 것을 바쳐 하나님께 예배한다(히13:15)청교도 예배와 현대교회청교도들은 교회 예배에 관한 것들을 모두 성경에서 직접 찾으려고 했다.그리하여 주일 예배를 두 번 드리는 것(민28:9), 교리 문답의 의무(딤후1:4), 기도서의 불법성(롬8:26), 성직자가 한 장소에 계속 서있는것(행1:15)등을 성경 적인 것이라고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영국의 청교도들은 예배를 일반적으로 하나님께 드려지는 기도, 찬양, 묵도, 믿음, 기원,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의 교훈을 받는 것으로 생각하였다.존오웬(John Owen): 기독교 예배 참된 범절과 질서와 아름다움은 삼위 일체적이며 복음적인 특성과 예배 자들의 믿음의 실천에 있다.예수 그리스도로 예배에 나아가서 성령의 능력 안에서 예배를 드리고, 예배가운데 아버지이신 하나님께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화려한 예배당과 의식보다는 그리스도인들 자신이 성전이며 하나님의 거처이기 때문에 ,진정한 예배는 몸으로 표현되지만 사실 하나님의 임재와 천국에서 행해지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히5;20,9:24;10:19, 21;r4장)차녹(Stephen Charnock)은 오직 중생한 자들만 하나님께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