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의 자녀교육(22)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유대인의 자녀교육(22) 성전으로서의 가정조건 국제사회에서 유대인에 대한 이미지는 피난민이다. 그들은 늘 피난 생활을 하면서 가족이 생사고락을 함께 해야 했다. 이는 그들이 가족 끼리뭉치는데 커다란 공헌을 햇다. 가정의 공동체 자녀교육은 어릴수 록 좋다. 발달심리학자 에릭슨은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의 발 달과정을 8단계로 나누었다. 그의 학설에의하면 8단게중 4단게가 12세 이전에 모두 형성된다. 인 간은 국민학교 졸업 이전에 그의 문화사상 도덕 및 윤리적 가치가 거 의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에 경험하고 형성된 사상과 추억이 일생동 안 지속된다. 특히 자녀가 어릴 때에 선악을 구별 하는 가치관 교육을 성경대로 시키면 평생 잊어버리지 않는다. 그러 므로 일생동안 부모 다음으로 자녀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교사는 대학교수보다도 유치원이나 국민학교 선생님이다. 유대인 가정에서는 자녀가 그들의 에너지를 충분히 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자녀들의 원만한 성품 형성에 큰 도움을 준다. 인간 은 연령에 따른 각 발달 과정에서 새로운 심리적 욕구를 필요로한다. 예를 들면 유아기에는 젖 빠는 욕구, 개구쟁이 시기에는 미운 7살, 사춘기 등이 그런 종류이다. 이러한 자녀의 욕구를 자정에서 충분한 사랑으로 건전하게 만족시켜주지 못하게 되면 성장 후에 성격 장애라 는 후유증이 온다 현세대의 자녀들이 부모님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왜 부모님들은 부부싸움을 할때나 자녀를 교훈할때 극단적인 말을 많이 사용하고 언성을 높이는가이다. 이것은 6.25세대가 전쟁 전후의 극한 적인 생명의 위협과 기아때문에 미처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를 느 끼고 충족할 만한 여유 없이 자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후유증은 성장후 결혼생활이나 자녀와의 관계 혹은 대인 관게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쉽게 분 노하며 절제를 잃기 쉽다. 현재 일부 대학생들의 데모가 왜 그렇게 격렬한가. 이에 대한 이유중 하나도 우리의 자녀들을 어려서부터 충 분하고 건전한 정서를 갖도록 교육하기 보다는 무조건 입시 위주의 지식교육만을강조했기 때문이다. 유대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족 끼리 게임과 오락을 자주한다. 그들은 자녀의 모든 에너지를 외부에 서가 아니라 가정에서 발산하도록 도와준다. 우리도 가정에 탁구대를 설치해놓고 가족끼리 편을 짜서 게임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가 될 것이다.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