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음주의의 개념 [김효성 목사]
복음주의가 무엇인가?
복음주의(福音主義, Evangelicalism)는 역사적으로 16세기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를 중심한 개신교회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었다. 개신교회를 복음주의라고 부른 것은, 신약 성경에 밝히 증거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왜곡시키고 복음 대신에 성례(聖禮)나 신자의 공로적 선행을 가르쳐왔던 로마 카톨릭 교회(천주교회)와 구별하기 위해서이었다. 이와 같이,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믿는 입장, 곧 성경적 기독교이었다.
그러나 현대 자유주의 신학들이 역사적 개신교회들 속에 들어와 교회들을 부패시키고 변질시켰던 20세기 중엽 이후, 복음주의는 두 부류와 진영으로 나뉘어졌다. 하나는 자유주의 신학이나 자유주의화 된 교회들에 대해 포용적인 신(新)복음주의이며, 다른 하나는 자유주의 신학을 철저히 반대하며 자유주의 교회들과의 교제의 단절을 주장하는 근본주의이다. 그러나 신복음주의자들이 '복음주의'라는 말을 즐겨 사용했기 때문에 오늘날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는 거의 동의어로 쓰이고 있다.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기독교연합신문 1996년 11월 10일자(7쪽)에는 크리스챠니티 투데이(9월 16일자)에 실린 케네스 칸쩌와의 대담 내용이 보도되어 있다. 칸쩌는 미국 트리니티신학교 학장을 역임한 복음주의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복음주의와 근본주의를 어떻게 구별하는가는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원래 근본주의자들은 정통 개신교 신앙을 고수하는 복음주의자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후에 모더니즘[현대주의=자유주의]과의 투쟁과정에서 모더니스트[현대주의자]들과 결별하기 위해 분리를 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죠. 만약 누군가 나를 '성경을 의지해 전통적인 복음주의 신앙을 고수하는 자'라는 의미에서 근본주의자라고 부른다면 나는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할 것입니다."
이 진술에서 그는 복음주의와 근본주의는 본래 같은 입장을 가리켰는데, 점차 근본주의는 자유주의자들과 분리하는 입장을 취하였고 복음주의는 그렇지 않았음을 인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 근본주의는 정통 개신교 신앙을 고수하고 자유주의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하는 입장이고, 복음주의는 정통 개신교 신앙을 고수하려 하지만 자유주의로부터의 분리를 반대하는 입장임을 증거한 것이다.
복음주의와 근본주의에 대한 그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거의 정확하게 보인다. 그러나 그는 자유주의 이단들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성경적으로 정당하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성경은 '서로 사랑하라'는 주님의 새 계명을 증거할 뿐만 아니라, 또한 '분리하라'는 사도들의 명령도 성령의 감동으로 밝히 증거하고 있다. 이것은 교회적 교제의 단절을 가리킨다.
분리의 대상들은
첫째 불신자들이며(고후 6:14-18),
둘째 이단자들이며(롬 16:17, 18; 딤 3:10; 요이 7-11; 유 3),
셋째 회개치 않는 범죄자들이며(고전 5:11-13),
넷째 고의적 불순종자들이다(살후 3:6, 14-15).
분리의 이유는
첫째로 교회가 바른 신앙 사상을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는 교회의 본질 때문에,
둘째로 교회가 교리적으로, 윤리적으로 거룩해야 한다는 교회의 순결성 때문에(엡 5:26, 27), 그리고
셋째로 악의 전염성 때문이다. 적은 누룩은 온 덩이에 퍼진다(고전 5:6).
성경은 "너희 교훈을 거스려 분쟁을 일으키고 거치게 하는 자들을 살피고 저희에게서 떠나라"고 말씀하고(롬 16:17), 또 "너희를 명하노니 규모없이[무질서하게] 행하고 우리에게 받은 유전대로 행하지 아니하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고 분명히 말씀했다(살 3:6).
신복음주의자는 진실하지만 잘못이다
타협적인 신복음주의자는 자신이 바르게 행동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교회의 파괴를 음모하는 마귀적 속임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잭 스티븐스는 오하이오 바이블 펠로쉽 비지터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내가 신복음주의자의 마음가짐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복음으로 세상을 접촉하는데 관심을 가지며, 그것은 더 빠를수록 더 좋다. 그리고 그는 그것을 하기 위해 그 밖의 거의 모든 것을 희생하려 한다. 그러나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는 너무 지나치게 많은 것을 포기하며, 그가 진전시키려고 하는 바로 그것을 파괴한다. 그는 외적인 성공을 가지며 참으로 형통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매우 진실하다. 그는 그가 바르다고 생각한다. 그는 형제이다. 그러나 그는 매우 잘못이다"(Calvary Contender, 1 March 1998).
신복음주의: 거대한 오염자
바울은 사도행전 20장에서 신자들에 대한 교회 밖으로부터의 공격에 대해 경고했으나 30절에는 안으로부터의 더 음흉한 위험을 지적하기를, "또 너희 중에서도 제자들을 끌어 자기를 좇게 하려고 어그러진 말을 하는 사람들이 일어날 줄을 내가 아노니"라고 하였다. 죤 애쉬브룩 목사는 다음과 같이 썼다: "오늘날 근본주의를 공격하는 거대한 오염 세력은 신복음주의 즉 안으로부터의 공격이다. . . . 신자와 불신자를 연합하는 에큐메니칼 전도가 있다. 은사주의와 비은사주의의 혼합이 있다. 개신교인과 천주교인의 연합에 대한 제안이 있다. 대교회 및 구도자 운동이 있다. 복음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이 있다. 현대 기독교 음악 운동이 있다. 천국과 지옥의 문자적 이해에 대한 공격이 있다. 하나님에 대한 개방적 견해가 있다. 이 모든 슬픈 광경이 근본주의 안에서 '제자들을 끌어 . . . 어그러진 말을 하는 사람들'이 일어남으로 생겼다. 우리는 우리가 신복음주의와 친구가 되고 그 책들을 읽고 그 대회들에 참석하고 그 연사들의 말을 들으나 그 어그러짐 속으로 이끌려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치명적 잘못을 범한다."
(OBF Visitor, November-December 2000; Calvary Contender, 1 February 2001.)
신복음주의가 치명적인 이유들
촬스 우드부릿지, "신복음주의는 가장 치명적인 신학적, 도덕적 타협이다. 그 입장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활한 공격이다. 개신교 종교개혁 이후, 그리스도의 교회가 이보다 더 간교한 위협에 직면한 적은 없다. . . . 그 입장은 몇 가지 이유에서 치명적이다.
첫째로, 그것은 신학적 부패의 한 형태로서 복음주의 진영들 밖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고 또 그 진영들 밖으로부터가 아닌 안으로부터의 공격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그것은 어떤 경우들에서 수년 동안 성경을 믿는 복음주의자로 알려진 자들에 의해 옹호되기 때문이다. 이들 중 어떤 이들은 참으로 한때 신앙의 변호자들이었다. 그들은 무리들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에 저들은 그들의 견해들이 바뀌었다는 것을 믿으려 하지 않을 것이며 그들을 따라 그들의 타협들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셋째로, 그것은 성경을 믿는 신자들이 명확히 반박할 수 있는 분명하게 정의된 다른 신학 체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의 음흉한 성격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분별력이 필요하다.
넷째로, 그것은 교리를 희생시키면서 사랑을 강조하고 복음의 사회적 측면들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것의 거짓된 가르침을 반대하는 정통 신자들은 사랑이 없거나 반(反)사회적이라고 간주될 위험이 있다. . . .
다섯째로, 그것은 자유주의 진영의 신학적 지식층의 비위를 맞추고 요구를 만족시키며, 자기의 견해들을 가지지 않는 자들은 전(前)근대적이라고 암시하기 때문이다. 정식적인 학구적 훈련을 조금밖에 받지 못한 목사들은 이것이 낙심시키는 일로 생각될 것이다.
여섯째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그것의 잘못된 그러나 그럴듯한 견해들로 세뇌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교리적 윤리적 쇠퇴가 교회 생활의 여러 영역들에서 보여진다. 일곱째로, 신복음주의라는 낙타의 코는 이미 기독교 천막 속에 있기 때문이다. 낙타는 그 전체를 차지하려고 힘써 밀고 들어오고 있다." (Gospel Standard, October 2001; Calvary Contender, 15 October 2001.)
극단적 중립
우리는 극단적 오른편과 극단적 왼편에 관해 들었다. 그러나 우리가 극단적으로 거짓되고 극단적으로 불순종적이며 극단적으로 위험하다고 폭로할 필요가 있는 것은 극단적 중립이다. 예전에 W. B. 라일리 박사는 말하기를, "중도적 사람은 20세기의 신학적 위협이다"고 하였다. "진리와 오류[선과 악]간의 싸움에서 중립성[온건함]은 덕이 아니다"고 했다(Calvary Contender, May 2002.)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