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교회론(敎會論, Ecclesiology)
구원론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속의 효과가 성령을 통하여 각 개인에게 적용되는 사실에 대해 언급하지만, 교회론은 구원의 주체이신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과 성령의 적용 사역을 통해서 구원된 모든 성도들이 천국 영화(榮化)에 이르기까지, 이 세상에서 어떻게 영적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야 할 지를 다룬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원받은 자들의 영적 공동체인 교회의 본질과 사역 등에 대해서 주로 언급한다.
1. 교회의 개념과 본질
1. 교회(Church)의 성경적 명칭
교회에 관한 명칭은 신약 성경에서 뿐만 아니라 구약 성경에서도 많이 나타나 있다. 이는 이미 구약 시대에도 신약 교회와 동일한 성격의 집단이 있음을 증명해 준다.
1) 구약의 용어들
(1) 카할( l h q ) - ‘회중’ 혹은 ‘집회’라는 뜻으로서, ‘불러 모으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유래하였다. 이것은 선민으로서의 ‘이스라엘 총회’(신 31:30), ‘여호와의 총회’(민 16:3; 20:4), ‘하나님의 회’(느 13:1)를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시실은, ‘교회’가 신적 부르심을 받은 자들의 모임임을 말해 준다.
(2) 에다( h d [ ) - ‘회중’(출 12:3; 16:1) 혹은 ‘집회’(시 7:7)로 번역되며, 본래 ‘지정하다’(appoint)의 뜻이 있는 동사에서 나왔다. 이러한 사실은, ‘교회’가 지정된 장소에 특별히 지명되어 모인 사람들의 모임임을 증거한다.
2) 신약의 용어들
신약의 용어는 교회를 하나님께 예배드리며 공적으로 그리스도를 주(主)로 고백하는 단체로 규정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오늘날 교회의 개념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유형적 교회(有形的 敎會)와 더불어 무형적 교회(無形的 敎會)에 관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1) 쉬나교게( sunagwghv ) - ‘함께’라는 뜻의 전치사(쉰)와 ‘인도하다’라는 뜻의 동사(아고)가 합하여 ‘함께 인도하다’ 혹은 ‘함께 오다’라는 뜻을 갖게 된 동사 ‘쉬나고’( suna[ )에서 유래하였으며 ‘회당’으로 번역된다. 이 단어는 본래 신약 교회를 지칭하는데 사용되지 않았으며 다만 유대인의 예배 처소를 가리켰다(행 13:43). 그러나 회당은 기독교 복음 전도와 초대 교회 형성의 교두보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2) 에클레시아( ejcclhsiva ) - 신약에서 교회를 지칭하는 대표적 단어 이다. ‘…로부터’라는 뜻의 전치사(에크)와 ‘밖으로 불러내다’라는 뜻의 동사(칼레오)가 합성된 것에서 유래한 용어로서 ‘…로부터 밖으로 불러내다’라는 뜻이다. 이 용어는 본래 어떠한 공적인 사업을 논의할 목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집회, 즉 ‘회중’이란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신약에서는, 일반 대중들 가운데서 주님께로 나아와 그분을 공적으로 자신들의 주님으로 고백하고 하나님 나라를 받아들인 무리들을 가리키다가(마 16:18), 지교회(행 5:10), 가정 교회(롬 16:5), 유형 교회(고전 10:32), 무형 교회(엡 1:22,23) 모두에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3) 기타 용어들
① 그리스도의 몸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교회의 유기적 연합(有機的 聯合)을 강조한다(고전 12:27; 엡 1:22,23; 골 1:18).
② 하나님의 성전 - 교회의 영적 거룩성을 강조한다(고전 3:16). 한편 ‘하나님의 처소’(엡 2:21,22)와 ‘예루살렘’(갈 4:26), ‘신령한 집’(벧전
2:5)도 동일하게 쓰인다.
③진리의 기둥과 터 - 교회에는 진리의 수호라는 사명이 있음을 강조한다(딤전 3:15).
④새 예루살렘, 위에 있는 예루살렘, 하늘의 예루살렘 - 예루살렘은 본래 성전이 있었던 곳으로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들이 만나는 장소로
상징된다. 따라서 교회가 영적인 예루살렘으로 비유되는 것은 교회가 하나님과 그의 백성들이 서로 교통하며 교제하는 집단 또는 장
소이기 때문이다(갈 4:26; 히 12:22). 또한 이러한 표현은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완성될 천상 교회를 지칭하는데에도 사용되었다.
(계 21:2).
2. 교회의 본질
교회 명칭에 대한 성경 언급 및 이에 대한 묘사로 보아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본질이 성경에 분명히 나타나 있으나 세부 내용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한다.
1) 로마 카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
교회의 본질을 교황 아래 법적인 목자들의 지도를 받고 세례와 성례에 참여하는 자들로 구성된 ‘외형적 조직’에서 찾는다.
2) 그리이스 정교회(Greek Orthodox Church)
카톨릭과 거의 유사하게 현실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실체인 ‘가견적 교회’(可見的 敎會)만을 강조한다.
3) 개신교(Protestantism)
외면적 조직보다는 그리스도의 피로 씻음받은 성도들의 모임을 교회로 본다. 유형 교회(有形敎會)는 단지 부차적 요소로 본다.
3. 교회의 구별
교회는 그 역할과 성격 및 보는 관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1) 전투적 교회와 승리적 교회
지상 교회(地上 敎會)는 계속 악과 싸워야 하므로 전투적 교회(戰鬪的敎會)이지만(엡 6:12,13), 천상 교회(天上敎會)는 이미 악을 이긴 승리적 교회(勝利的敎會)이다(계 21:4). 하지만 교회도 이미 승리가 보장된 상태에서 투쟁하는 교회이다(롬 8:35,37).
2) 유형 교회와 무형 교회
무형 교회(無形敎會)는 구원받은 신자들의 모임만을 말하지만, 유형 교회(有形敎會)는 무형 교회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조직체까지가 포함돤 가견적 교회(可見的敎會)이다.
3) 유기체적 교회와 조직체적 교회
본래 교회는 성령의 띠로 성도들이 연합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有機體)이다(고전 12:13). 그러나 여기에, 교회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일정한 건물과 행정 조직을 더한 것이 조직체(組織體)로서의 교회이다(엡 2:20-22).
4. 교회와 하나님 나라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통치권이 미치는 모든 영역, 특히 그분의 은총 아래 있는 영역을 말하다. 따라서 교회도 그 영역 속에 포함되므로 하나님 나라의 일부이다. 그러나 교회가 곧 하나님 나라인 것은 아니다.
1) 무형 교회와 하나님 나라
중생자(重生者)들의 모임이란 점에서 일치한다. 그러나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서의 성도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 사명이지만, 교횜 구성원으로서의 성도는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기 위한 성화(聖化)에 강조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2) 유형 교회와 하나님 나라
유형 교회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 확장이라는 점에서 하나님 나라와 일치한다. 그러나 유형 교회에는 가라지가 표함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5. 여러 시대의 교회
교회는 타락한 인간에게 하나님께서 찾아오셔서 여자의 후손을 통한 구원을 계시하신 ‘원시 복음”(창 3:15)의 선포 순간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원시 복음’이란 타락하 인간에게 최초로 약속된 은혜 언약으로서, 또한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한다는 점에서 지칭된 용어이다. 그때부터 시대가 흐름에 따라 교회의 형태는 대략 아래와 같이 발전하였다.
1) 족장 시대(가정 교회)
아담 이후 모세 전까지 가족 중심의 교회였다.
2) 모세 시대(국가 교회)
민족 전체가 하나의 교회였다. 즉 신앙의 구심점인 중앙 성소(中央聖所)와 제사장이 통치 기능을 병행하여 감당하는 국가 교회 형태였다.
3) 신약 교회(보편 교회)
그리스도를 기초반석으로 하여(고전 3:11) 택한 자를 부르시는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세워졌다. 신약 교회는 더 이상 구약교회와 같은 의식적 예배를 드리지 않고 성령과 진리로 예배를 드리며(요 4:24) 전세계로 확산되어 존재한다.
4) 신, 구약 교회의 이질성과 동질성
(1) 신, 구약 교회의 이질성(異質性)
① 독립 조직 - 구약 교회는 이스라엘 국가로부터 독립되지 못했지만 신약 교회는 이스라엘 국가 속에 병합되지 않는 독립 조직을 이루었다
(행 15:1-5)
② 세계적 교회 - 구약 교회가 민족적 교회임에 반해서 신약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는 교회이다.
③ 선교적 교회 - 구약 교회에서는 복음이 주로 이스라엘 민적 안에 국한되었다. 이에 반해서 신약 교회는 전 세계로의 복음 전파를 주된 사
명으로 삼는 선교적 교회가 되었다.
(2) 신, 구약 교회의 동질성
① 구성원 - 두 교회의 무형 교회상의 구성원은 모두 다 참 성도이다. 그러나 두 교회의 유형 교회에는 선인과 악인이 각각 포함되어 있다.
② 기초 - 신, 구약 교회 모두 그 기초는 그리스도이다(고전 3:11). 다만 구약 교회는 약속된 메시야를 기초로 하였으며, 신약 교회는 이미 오
신 그리스도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창3:15; 13:15; 22:18; 갈 3:16).
③ 구원의 길 - 모두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롬 4:5-10).
④ 성례 의식 - 외형상의 차이는 있으나 근본 의미는 같다. 즉 유월절 어린양 성찬의 주인공인 그리스도를 예표한다(요 1:29; 고전 5:7). 또한
구약 교회의 할례와 신약 교회의 세례는 육적 몸을 벗어버리는 성결 의식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하다(골 2:11,12).
⑤ 예언과 성취 - 구약 선지자들이 예언한 메시야의 강림으로 인하여 구약 교회는 해체된 것이 아니라 신약 교회를 통하여 확대 강화되었다
(사 49:18-23; 60:1-3).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