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주의란 무엇인가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세대주의란 무엇인가1. 세대란 무엇인가우리 말로 “세대”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의 oikonomia(오이코노미아)로 이 단어는 ‘시기’나 ‘기간’이 아닌 “한 집안이 운영되는 규범”혹은“집 주인이 그의 가족을 다스리는 방법”이란 뜻입니다이 단어가 일정한 기간(period) 혹은 시대(age)를 의미 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세대주의 신학자중 한 명인 “스코필드”의 주석 성경에서 내려진 정의 때문입니다여기에 보면 “세대란 인간이 하나님의 어떤 특정한 계시에 대한 순종과 관련하여 시험을 받는 일정한 기간을 말한다 성경에는 일곱 개의 그러한 세대가 나타나 있다”그러나 성경은 하나님의 경영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시대에 맞추고 있지 않습니다그래서 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세대가 아닌“경륜”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그런면에서 세대주의의 신학자중 최고라고 할수 있는 아이언 사이드는 이렇게 정의를내라고 있는데 “경륜이란 일의 정돈된 상태를 말한다 하나님의 말씀에는 그 전체에 걸쳐 흐르는 여러 경륜들이 있다 세대,혹은 경륜은 특별한 한 시대에 파급되어 있는그러나 다른 시대에는 분명하게 파급되어 있지 않는 그러한 독특한 일의 질서 혹은 상태이다“결론적으로 세대주의는 이 세상을 하나님에 의해 운영되는 하나의 집으로 간주합니다이 집(세상)에서 하나님은 그 자신의 뜻을 따라서 시간과정 안에서 여러 단계의 계시를 통해서 그 일을 분배 혹은 관리하고 계십니다이 여러 단계들은 하나님의 전체 목적의 성취과정 안에서 구분 가능하게 다른 경륜들로 구별되는데 이 경륜들이 바로 세대입니다그런면에서 하나님의 다양한 경륜들을 이해하는 것이 그러한 다양한 경륜들 안에 있는 하나님의 계시를 올바로 이해 하는데 필수적입니다2. 세대주의의 기원가) 체계화 이전의 세대주의 개념1)저스틴 마터 (110 - 165년):하나님의 상이한 계획들에 대한 개념을 그의 저서 “트리포와의 대화”에서 피력2) 이레니우스 (130 - 200년): 사 복음서의 이유에 대하여 복음은 사중적인 형태인데 이는 주님이 취하신 여정과도 같다 이런 이유로 인간에게 네가지 중요한 언약이 주어졌다3)클레멘트(150 - 220년):아담,노아,아브라함,모세 세대로 사중적인 구분을 했다4) 어거스틴(354 - 430년):어거스틴은 말하기를 “시대를 구분하라 그러면 성경은 그 자체와 조화를 이룬다”나) 발전도상의 세대주의(Darby이전)1)피에르 포와르):프랑스의 철학자 였는데 “하나님의 경륜”이라는 책에서 세대주의적 골격을 말하였다2) 죤 에드워드 ):그의 저서 “모든 세대들의 전 역사, 혹은 개관”이라는 책에서 세대주의적 골격을 말하였 다3) 아이작 왓츠):찬송시 작가로 잘 알려진 그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지정해 주신 모든 종교들과, 인간 을 향한 그 분으 모든 세대들의 조화”라는 글에서 세대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정의하고자신의 체계를 제시했다다) 체계화된 세대주의 (Darby - 현재)1) 죤 넬슨 다비 )다비가 지도자로 있던 속칭 플리머스 형제단이 세대주의 체계화및 발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그들이 세대주의 체계내에 있는 개념들을 창안해 낸것 은 결코 아니다다비의 세대주의적 골격A) 낙원 상태에서 홍수까지B) 노아C) 아브라함D)이스라엘E) 이방인F) 성령G) 천년왕국2) C.I 스콜필드 )법률가였던 스코필드는 ‘스코틀랜드 관주 성경’과 ‘말씀의 올바른 분별’이란 저서에서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전 경륜을 일곱세대로 구분하였다A) 무죄시대 (에덴 창 1:28)B) 양심시대 (타락에서 홍수까지 창 3:23C) 인간치리시대 (노아에서 바벨까지 창8:21)D) 약속시대 (아브라함에서 애굽까지 창 12:1)E) 율법시대 (모세에서 침례 요한까지 출 19:8)F) 은혜시대 (그리스도에서 교회 휴거까지 요 1:17)G) 천년왕국시대 (재림에서 백보좌 심판까지 엡1:10)3. 세대주의의 본질가) 문자적 해석의 일관성문자적 해석이란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과 계시를 인간의 문자를 통해 주셨으므로그 기록된 문자나 단어, 문장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문자적 해석은 성경을 영해 하거나 우화적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그러나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 영해(우화주의)는 받아 들여지지만 한 해석 체계로서는거부한다 세대주의는 문자적 해석을 일관되게 적용한다나) 이스라엘과 교회의 확실한 구분하나님은 전 시대를 통해 두 가지 구분된 목적을 추구하고 계신다 그 하나는 지상적인백성인 이스라엘과 지상적인 목적을 지닌 땅에 관계된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천상적인백성인 교회와 천상적인 목적을 지닌 하늘과 관계된 것이다이 구분은 세대주의자의 여부를 판가름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결론적인 문제이다다) 자연스런 세대의 구분성경에 나타난 중대한 사건과 언약(계약)을 중심으로 성경을 보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맺어진 언약을 기초로 그 세대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한다이는 성경을 분획화 하여 잘 이해하고 그것을 성경전체와 종합하여 조화와 통일을 유지한다 이렇게 세대의 구분은 해석학적 모순을 제거하여 준다라) 하나님 경륜의 궁극적 목적 ;하나님의 영광언약신학자( = 계약신학자) 들은 “구원”이 그 목적이라고 말하지만 세대주의자들은그보다 넓게 즉 “하나님의 영광”이라고 말한다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그 계획의 완성, 곧 구원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하나님께서서 자신을 영화롭게 하는 총체적인 계획을 이루기 위해 사용하시는 방편의 하나이다 성경은 구원을 중심 주제로 하는 "인간 중심인 인본"이 아니라하나님의 영광을 중심 주제로 하는 "하나님 중심 즉 신본"이다4. 세대주의의 신앙 (주요 세 부분만...)가) 구원론모든 시대에 있어 구원의 기초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며 구원의 조건은 믿음이다믿음의 대상은 하나님인데 믿음의 내용은 세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이것은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에게 거저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에서 기인되는 것이다나) 교회론A) 교회는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교회는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몸으로서 그리스도와 맺고 있는 독특한 관계이다교회의 구성원 들은 유대인과 이방인 중에서 구원 받은 현세대의 신자들로 구성된다교회는 그리스도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고 (마16:18) 몸된 성도의 모임과 성도 각인 속에 그리스도께 서 내주해 계신다 (마 18:20,골1:27)B) 교회는 구분된 시간을 가진다교회의 시작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승천 열흘 후에 있었던 오순절이며 (행2:1)교회의 완성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공중재림으로 유발되는 교회의 휴거이다C) 교회는 이스라엘과 구분된다교회가 형성된 후에도 한 민족으로서의 이스라엘이 분명히 언급되어 있고 (롬10:31)성경은 자연 스럽게 이 둘을 구분한다 (고전10:32)다) 종말론A) 환난전 휴거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은 교회는 마치 에녹과 롯과 같이 환난전에 땅에서취함을 입는다는 신앙을 낳는다 (살전 1:10,계3:10)반면에 이스라엘은 노아와 같이 환난을 통과하여 구원을 받게 된다는 분별을갖게 된다교회가 하나님의 새로운 경륜이라면 (엡3:10) 그 세대 (교회시대)가 종결되어야다음 경륜이 시작될 것이다B) 천년왕국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다시 오셔서 가시적인 왕국을 건설(천년왕국)하신다구약의 수많은 미성취된 예언들이 이 시대에 문자적으로 성취된다세대주의자들의 천년왕국의 교리는 많은 성경 구절들의 해석과 적용이 천년왕국의전체 골격을 형성한다 세대적 전 천년주의는 전체 성경체계안에 완전히 통합된 천년왕국으로 역사적 전천년주의와 구별된다5. 세대주의의 유명한 신학자들가) 19세기의 학자들: J.N 다비, 윌리암 켈리, C.H 맥킨토쉬, 죠지 뮐러, C.I 스코필드 ...나) 20세기의 유명한 신학자들: H.A아이언 사이드, L.S 췌이퍼, A.P 깁스, R.E 할로우 , 에릭 사우어, 윌리엄 맥도널 드, 메릴 엉거, 어빙 젠센, 챨스 라일리, 죤 월부어드, ..이상의 내용외에 더 알기 원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책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리라고 여겨집니다1. 세대주의란 무엇인가, 클라런스 베스 지음 생명의 말씀사2. 세대주의의 바른 이해 챨스 라일리 지음 전도 출판사3. 신학 교리 도표 웨인 하우스 지음 생명의 말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