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역대WCC 총회 주제들을 통해 살펴 본 WCC운동과 신학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역대WCC 총회 주제들을 통해 살펴 본 WCC운동과 신학

 

I. 서론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은 세계교회협의회(WCC)를 탄생시켰다. WCC는 서구 개신교 선교운동으로 출발해서 개신교회의 동방정교회를 포함하는 세계 기독교 운동으로 발전했다.

WCC는 총회를 통해 세계 앞에 자신을 가시화한다. WCC중앙위원회가 총회장소를 결정한 후, WCC 총회계획위원회(the Assembly Planning Core Group)는 주제를 비롯한 계획을 입안한다. WCC 총회 주제를 설정하기 위해서 계획위원회는 에큐메니칼 운동의 성경적ㆍ신학적 전통, 교회들의 공동희망, 에큐메니칼 콘텍스트, 총회 개최지의 콘텍스트, 에큐메니칼 운동의 우선적인 과제 등을 광범위하게 고려한다.1) 주제가 결정되면 본격적인 총회준비가 시작된다.

그러나 WCC 총회주제는 단순히 총회를 상징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것은 그 시대의 에큐메니칼 상황을 해석하는 지침 역할을 하고, 시대의 징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에큐메니칼 과제를 나타내는 복합적인 역할을 한다. 큰 의미에서 에큐메니칼 항해를 하는 배의 방향타를 조정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2013년 부산총회가 결정된 이후 지금 총회의 주제를 선정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역대 WCC 총회의 주제들이 어떠한 신학적인 내용을 담고 시대의 징표들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연구하는 것은 총회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교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 생각된다.

 

 

II. 역대 WCC 총회 주제들에 나타난 운동과 신학

 

1. 제1차 암스테르담 총회 (1948)

 

⑴ 장소와 참가자들

1938년 WCC 창립을 결의 한 장소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Utrecht)였다. 10년이 지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WCC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초대 사무총장 비셔트후프트(Willem A. Visser 't Hooft, 1948-66) 역시 네덜란드 출신 신학자였다. 창립총회에는 147개 회원교회로부터 351명의 총대들이 참석하였는데, 주로 유럽ㆍ북미 교회들과 소수의 동방정교회 대표들이 참석하였다.

 

⑵ 시대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교회들은, 교회 일치을 위해 노력한 결과 “국제선교협의회”(IMC, 1921), “생활과 사역”(Life and Work, 1925), “신앙과 직제”(Faith and Order, 1927)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진정한 일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신앙의 일치와 봉사를 통한 일치가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2) 1938년 “생활과 사역”과 “신앙과 직제” 양 기구의 대표들이 모여 둘을 통합하여 WCC를 창립하기로 하고 헌장을 작성했다.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교회의 낙관론은 산산 조각이 났다. 갈라진 교회공동체는 복음의 메시지를 전하는데 무능함이 드러났다. 교회는 세상을 화해시키는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 진정한 일치를 추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⑶ 총회 주제에 나타난 신학적 특징

인간의 무질서와 하나님의 섭리 (Man's Disorder and God's Design)

WCC는 세계와 교회의 위기 상황에서 창립되었다. 당시 에큐메니칼 운동의 핵심과제는 무너진 세계의 “재건”이었다. WCC는 하나님의 섭리만이 인간의 무질서를 해결할 수 있고, 교회는 그 중재자가 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증언의 책임이 있는 교회는 심각하게 분열되어 있었다. WCC는 교회가 분열을 회개하고 자기 갱신을 통해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총회의 주제에는 이러한 인간의 교만함과 어떤 문명과 교회도 하나님의 심판에서 자유하지 못하다는 바르트 신학이 나타나고 있다.

 

⑷ 교회일치론:

초기 WCC 교회론은 기독론 중심적인 ‘비교교회론’이었다. 비록 교회들은 분열되어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주신 일치(God-given-unity)가 있고 그것을 서로 확인하기 위해 “함께 모이자”는 것이었다.

 

⑸ 분과토론 주제들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있는 보편적인 교회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교회의 증언

교회와 사회의 무질서

교회와 국제적 무질서

?1분과는 교회일치를 다루었다. 2분과는 선교론을 다루었다. IMC가 WCC에 통합되지 않는 상황을 의식하면서 선교는 모든 교회의 공동과제라고 선언했고, 평신도들의 선교적 책임을 강조했다. 3분과는 윤리론으로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책임사회”(the responsible society)를 제시했다. 제4분과는 국제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체고의 로마드카(J. Hromadka)와 미국의 덜레스(J.F. Dulles) 사이에 치열한 이데올로기 논쟁이 있었다.

 

2. 제2차 에반스톤 총회(1954)

 

⑴ 장소와 참가자들 :

미국은 제2차 대전 이후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큰 영향력을 차지했다. 1937년에 구성된 WCC 중앙위원회의 60개 의석 중에 북미는 12석(20%)을 차지했고, 에반스톤 총회에서는 총90개 의석 중 22석(24.4%)을 차지했다. 재정적인 면에서 미국교회의 기여는 더 두드러졌다. 록펠러는 WCC본부 건물을 구입하도록 54만불을 기부하였고, 미국교회가 WCC의 년간 예산에 부담하는 비율은 1949년 82.9%, 1950년 81.6%, 1953년 78.2%에 달했다.4) WCC 제2차 총회는 자연스럽게 미국으로 결정되었다. 161개 회원교회에서 502명의 총대가 참석했다.

 

⑵ 시대적 배경과 WCC의 활동

첫째로 1948년 베를린이 봉쇄되었고, 194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결성되면서 미소 사이에 냉전블럭이 형성되었다. 그해 중국이 공산화되었다. 둘째 한국전쟁은 에반스턴 총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탈식민지화 운동으로 신생국가들이 탄생했다. 1949년 인도네시아가 독립했다. 그러나 1953년과 1954년에 이란과 과테말라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는 군사쿠데타가 일어났다.

1950년대 에큐메니칼 운동의 관심은 탈식민지와 신생국의 국가건설이었다. WCC 내부에서는 이 문제로 인해 서구교회와 신생교회들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1950년 토론토에서 열린 WCC 중앙위원회는 “한국 상황과 세계질서에 대한 성명”을 내고 UN이 한국에서 경찰행동을 해줄 것을 결의했다. 또한 WCC의 본성을 밝히는 “교회, 교회들,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를 발표했다. 1952년 빌링겐 국제선교협의회(IMC)에서는 “하나님선교”(missio Dei)개념이 등장해서 WCC 선교신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1948-1958의 10년 동안 IMC와 WCC 사이의 통합 문제가 논의 되었다.

 

⑶ 주제에 나타난 신학적 특징

그리스도-세상의 소망 (Christ - the Hope of the World) (엡4:4-7)

1950년 토론토 중앙위원회는 “세계는 거짓 희망, 절망과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총회 주제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와 세상 모두에게 유일한 희망이라는 확증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것은 향후 WCC 총회 주제가 기독론 중심으로 가도록 만들었다. WCC 헌장에 따라 이어지는 총회 주제들은 기독론적 신앙고백을 시대적 징표로 해석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에반스턴 총회는 동서갈등, 남북갈등, 흑백갈등을 초월하여 교회가 일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했다. 그것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과 그 안에 있는 종말론적인 희망이었다. 그러나 종말론적 희망(하나님 나라)의 의미와 그 역사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견해가 일치하지 못했다. 주로 유럽 교회들은 희망을 종말론적으로 이해했고 미국교회들은 그것을 현실적 낙관론으로 이해했다.

 

⑷ 교회일치론

에반스톤 총회도 암스테르담처럼 기독론중심적인 “비교교회론”에 머물러 있었다. 다만 “함께 모이기를 원한다”(Stay Together)에서 “함께 성장하자”(Grow Together)로 강조점이 변화되었다.

 

⑸ 분과토론 주제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하나됨과 교회로서 우리의 불일치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을 향한 교회의 선교

세계적 관점에서 책임사회

세계 공동체를 위해 투쟁하는 기독교인들

인종 및 민족분쟁의 와중에 있는 교회

평신도

1분과는 교회일치를 다루었다. 2분과에서는 “하나님 선교”를 다루었다. 3분과는 1차 총회의 “책임사회”개념을 더 명확하게 발전시켜 “책임사회는 사회ㆍ정치적 대안이 아니라 사회질서를 평가하는 기준이며 우리가 선택할 사항에 대해 안내해 주는 지침이다.”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교회는 국가의 양심이 되어야 한다”는 윤리신학을 제시했다. 제4분과에서는 최초로 제3세계의 경제적 저개발지역의 문제를 다루었다. 5분과는 종교자유와 인종평등 문제를 다루었다. 에반스턴 총회는 인종평등을 주장하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그로 인해 인종차별정책을 고수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세 개의 네덜란드 개혁교회들이 WCC를 탈퇴하였다. 6분과에서는 평신도는 교회와 세상 사이를 연결하는 선교적 책임을 지니고 있다는 “평신도 신학”을 강조했다.

 

3. 제3차 뉴델리 총회 (1961)

 

⑴ 장소와 참가자들

인도는 인도네시아와 함께 제3세계 비동맹권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국제무대에 아시아의 영향력이 크게 등장했다. 또한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의 성장은 동아시아기독교협의회(EACC)의 결성으로 나타났다. 서구권 밖 최초의 WCC 총회는 인도를 선택했다. 197개 회원교회에서 557명의 대표가 참가했다. 이때 24개의 회원교회가 새로 가입을 했다.

① 4개의 동방정교회 (러시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폴란드)

② 18개의 신생교회 (11개의 아프리카 교회, 5개의 아시아교회, 2개의 남미교회)

③ 2개의 오순절 교회

 

⑵ 시대적 배경과 WCC의 활동

1955년 나토에 대응하는 동구권 바르샤바 조약기구가 결성되었다. 미소 양대 블록에 저항하면서 아시아.ㆍ아프리카의 “반둥 비동맹회의”가 결성되었다. 1956년에 스탈린은 헝가리의 자유혁명을 군대로 진압했고, 영국과 프랑스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를 강점하였다. 1957년 가나가 영국연방에서 독립하여 아프리카 민족독립의 선봉이 되었다. 1959년에는 쿠바가 혁명을 성공하면서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였다. 1960년 남아공정부가 샤퍼빌에서 흑인들을 대량 학살하였고, WCC의 인종차별반대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WCC는 1955년부터 10년 동안 일어난 이스탄불 내전의 피해복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1956년 소련의 헝가리 침공 때에는 난민들의 이주 정착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1958년 러시아 정교회와 WCC 사이에 대화와 방문이 활성화 되었다. 이러한 봉사와 대화는 4개의 동방정교회가 WCC에 가입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957년 동아시아기독교협의회(EACC: CCA의 전신)가 조직된 것은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의 조직화를 드러내었다.5) 1958년 가나의 IMC 대회는 WCC와 IMC의 통합을 결의했다. 아시아ㆍ아프리카 교회들이 양기구의 통합을 강하게 요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선교지 교회들의 선교의식 성장

둘째, 양쪽의 회원권과 사업의 중복

셋째, 선교와 교회의 분립은 서구교회의 문제6)

1960년 WCC 중앙위원회는 헌장을 개정하고 에큐메니칼 운동에 성서적이고, 복음적이고, 삼위일체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세계교회협의회는 성서의 가르침에 따라 주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과 구세주로 고백하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 곧 한 분이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함께 부름 받은 사명을 공동으로 완수하려는 교회들의 친교이다.7)

 

 

The Cross Pendant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uy Now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Terms of UsePrivacy Notice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

Home
Gospel
Question
Blog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