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번째 높은 사람~~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다니엘서 5장 7절 -왕이 크게 소리 질러 술객과 갈대아 술사와 점쟁이를 불러오게 하고 의 지혜자들에게 말하되 누구를 막론하고 이 글자를 읽고 그 해석을 내게 보이면 자주색 옷을 입히고 사슬을 그의 목에 걸어 주리니 그를 의 셋째 통치자로 삼으리라 하니라-

첫번째, 두번째 통치자는 누구일까?

첫번째/ 나보니두스

둘째/ 벨사살

나보니두스는 성경에서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는 기원전 556년부터 539년까지 바빌로니아의 왕으로 통치했으며, 그의 통치는 바빌로니아 제국의 마지막 날을 의미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구약성의 마지막 사건들, 특히 바빌로니아의 몰락과 페르시아 제국의 부상과 얽혀 있습니다. 나보니두스는 아마도 그의 특이한 종교적 관행과 바빌로니아가 페르시아에 함락되기 전 마지막 왕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입니다. 성경에서 그를 자주 언급하지는 않지만, 역사적 기록과 고고학적 발견은 그의 통치에 대해 많은 것을 보여줍니다.

나보니두스는 신 의 마지막 왕(재위: 기원전 556~539년)이었다. 그에 대한 기록은 과 의 기록들, 그리고 에 단편적인 기록들만 남아있을 뿐, 아직 상당부분이 베일에 쌓여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최근 고고학적 발굴성과로 인하여 바빌로니아의 최후와 나보니두스에 대한 기록들이 하나씩 복원되고 있는 중이다.

출생배경

나보니두스의 출신은 분명하지 않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본래 아시리아 인이었다고 주장하며, 그러한 근거는 등의 일부 고고학 자료에 따르고 있으나, 페르시아의 정복 초기, 어느 정도 정치적 선전으로 윤색된 자료일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할 때, 비판적인 수용이 필요하다.

즉위와 업적

나보니두스는 기원전 556년 어린 왕 을 밀어내고 왕좌에 올랐다. 그는 바빌로니아 제국의 과거 영광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의 치세에서 가장 특기할만한 사실은 종교개혁운동이다. 당시 바빌로니아의 주신은 이었다. 그러나 그는 달의 신 을 더욱 숭배하도록 하였으며, 여기서 오는 반발이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치세 후반기, 자신의 아들인 을 왕으로 세우고 자신은 으로서 제국을 통치 했다.

바빌로니아의 패망

에 의하면, 페르시아 군이 바벨론 시를 포위했을 때, 성안 백성들이 문을 열고 그들을 자신들의 해방자로 맞이했다고 전한다. 의 기록에서는 초기에 키루스는 시 공성전에서 실패했고, 오랜 시일이 걸리자 유프라테스 강의 물줄기를 돌려서 강바닥이 마르도록 했고, 병사들은 마른 강바닥을 통해 행군해 들어갔다고 한다. 의 기록에도 이와 비슷한 대목이 보이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언급은 생략되어 있다. 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나보니두스는 로 도망쳤고, 키루스가 성을 함락시킨 후, 군대를 보르시파로 돌리자 성에서 나와 항복했다. 이후 나보니두스에 대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키루스가 그를 살려주고 편안한 여생을 보내게 해주었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