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 계명, 규례, 율례의 구별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율법, 계명, 규례, 율례의 구별 

  

율법(律法, Law)

[히] hr/T (torah) [아] tD(dath) [그] novmo"(nomos) 

[영] Law모세의 십계명을 중심으로 한 하나님의 백성의 생활과 행위에 관한 하나님의 명령. 

 

[율법]이라는 말은, 구약의 율법 및 [율법책]을 가리키는 일도 있고, 구약성서 전체를 뜻하는 일도 있다. 

단순한 법률만이 아니고, 히브리원어는 [토-라-]가 원래 [가르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 

하나님의 거룩하신 뜻의 계시인 동시에, 그 여러 가지 규정의 배후에 절대적인 하나님의 요구가 있는 것으로 되고 있다. 그 내용에는 제의적 규정이라든가, 사회적 규범도 포함 되어 있지만, 그 뼈대를 이루고 있는 것은 윤리적인 것으로서, [십계명](출 20:1-17,신5:6-21)은 물론이고, [언약서](계약서, 출 20:23-23:19) 및 [율법](신 12-26장), 

또는 제의적 규정이 거의 전부인 레위기에 있어서도, 한가지로 그렇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율법의 중심은 하나님의 의이다. 

율법을 따라 선을 행하는 자에게는 생명이 주어지고, 악을 행하는 자의 죽음으로써 벌해지는 것이 의의 원칙이다

(신 4:1,8:19,20,겔 18:18,19). 유대교인의 스스로의 힘으로 율법이 행해질 수 있다고 하지만, 원래 이스라엘에 율법이 주어진 것은, 출애굽의 구원이 행해진 후이고, 특히 홍해를 건넘에 있어서 하나님의 이적적인 은혜의 능력이 보여 지고 나서, 그 후 시내산에서 언약의 구체화로서 십계명이 주어진 것이다. 

먼저 은혜의 선택이 행해진 후에 계약이 체결되고, 그 구체화로서 하나님의 백성의 생활규정으로서의 율법이 

주어진 것이다. 율법의 행위에 의해 구원을 획득하려는 바리새주의는 이 순서를 역행하는 일인 것이다. 

 

율법의 요구를 앞에 두고서의 인간의 죄, 율법을 자력으로 행할 수 없음의 죄를 자각한 것은 선지자이고, 

특히 예레미야였다. 인간에게 거룩하게 사는 일을 명하는 율법은 인간을 거룩하게 하는 약속을 내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레미야가 말한[새 언약](렘 31:31-34)을, 친히 자기의 십자가의 피로 성취하신 이가, 예수 그리스도였다(막 14:24).예수는 모세의 율법을 폐하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 왔다고 선언하시고(마 5:17), 율법을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하셨다(막 7:13). 

 

예수께서 공격하신 것은 바리새인의 왜곡된 율법주의이고, 율법의 본래의 의도를 회복하고 성취하려 하신 것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속죄를 믿는 자는, 자력으로 구원을 얻으려는 율법주의의 멍에에서 해방되는데, 

동시에 그 자유로써 서로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율법(사랑) 아래로 부르심을 입는다. 

그리스도의 사랑은 율법의 완성 이다(갈 5장,롬13:8-10).

 

1. [율법]으로 역된 히브리어 명사 [토-라-]의 개념은, 유대교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그 본성, 성격, 목적]에 대해 알려 주신 것, 또 인간의 존재와 행동에 관한 [하나님의 뜻에 대하여 알려주신 것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G.F. Moore). 이 [토-라-]를 구미에 있어서는 모두 [법률]을 의미하는 말로 역되어 있다. 

이것은 최고의 그리어역 구약성서(칠십인역)가 [노모스]로 역하고, 여기서 라틴어역의 레쿠스를 거쳐 [로-]로 

된 것이다. 한글개역에서 이것을 [율법]으로 역한 것은, 세속적 의미의 법률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같이 [토-라-]는 보통 법률이라든가 율법으로 역되어 있는데, 원래는 지시한다든가 교시한다를 의미하고, 

특히 하나님께서 제사장이나 선지자를 통하여 주신 것을 말했다. 그러나 이들 [토-라-]가 이스라엘의 생활 규칙으로서 법전화된 것에 의해, [토-라-]는 [교시]라는 의미도 새로이 취득하기에 이른 것이다.

 

2. [다-트]는 아람어 명사로서, 바사어(페르샤어)[다-타 data]에서 온 외래어인데, 바사시대의 법률에 한하여 

   인용되고, [율법](스 7:12,14,21,25,단 6:5), [율법](에 1:19,3:8,8)로 역되어 있다. 

 

3. [노모스]는 법 일반을 가리키는 외에, 개개의 법, 모세의 5서, 구약전체, 하나님의 요구를 가리켜 씌어진 

    헬라어 명사인데, 다만, 이 말이 사용되지 않고서도, 주제로서, 율법의 문제가 논해진 경우도 적지않다.

 

 

계명(誡命,Commandments)

[히] hj;x]mi(mitswah) [그] ejntolhv(entole) 

[영] Commandments권위 있는 자에 의해 말해진 권위의 말씀, 또는 명령.

 

따라서 이것은 의례 하나님에 대해서 씌어지고, 특히 하나님의 명령이나 율법을 가리킨다. 

[명령을 준다, 지정한다, 위임한다]는 의미를 어원(語源)으로 가진 히브리어의 [미츠와-], 

헬라어의 [엔톨레-]가 대표적인 용어이다. 

 

구약에서는 모세 5경에 보여 지는 하나님의 율법 및 십계명을 일반적으로 가리키고, 

신약에서는 예수에 의해 요약된 두 가지의 계명,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웃을 사랑하라]

(마22:35-40,막 12:28-34,눅 10:25-28→신 6:5, 레 19:18)는 것이 현저하다. 

 

그러므로 예수의계명은 [사랑하는 일]이다(요 13:34,14:15,21).

 이 밖에 신약에서는 인간의 명함이나 교훈에 대해서는 [훈계], [권한]등의 용어가 씌어져 있다

(행 20:31,롬 15:14,고전 4:14등). 원어는 수종의 것이 [계명]으로 역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은 다음 2어이다. 

 

1. [미츠와-]-구약에 181회 인용되고, [계명](창 26:5기타, 출 15:26,20:6기타), [명령](신 4:2기타), 

[규례](느10:32)등으로 역되어 있다. 이것은 동사 [차-와- hj;x,(tsawah), piel.]에서 온 말로서, 

이 동사는 485회 인용되고, [명하다](command)로 주로 역되어 있다.

 

2. [엔톨레-ejntolhv(entole)]-헬라어 명사로, [졔명], [명령](막 10:5기타_으로 주로 역되고 71회 씌어져 있다. 

이것은 동사 [엔텔로-ejntevllw(entello)][명령한다, 당부한다, 가르친다]

(to command, giveorders, instruct)에서 온 말로서, 칠십인역이 히브리어 [미츠와-]의 역어로 쓴 말이다.

 

 

규례(規例, Ordinance): 일정한 규칙과 정해진 관례(관습이 된 전례).

[히]qjo(choq), jQ;ju(chuqqah), fP;v]mi(mi shpat).

[그] dikaivwma(dikaioma), kanwvn(kanon) 

[영] Ordinance, Statute규칙과 정례.

 

규례는 [규례와 법도]라는 말로 구약에 수없이 보여 지고, 신명기에 있어서만도 17회나 나온다

(신 4:1,5,8,14,45,5:1,31, 6:1, 20, 7:11, 8:11, 11:1, 32, 12:1, 26:16,17, 30:16). 

특히 신 4:1에서 [규례]로 역된 히브리어는 명사 [호-크]로서, [새겨 넣는다], [조각한다]의 파생어이고,

 [영속적인 성문율(成文律:문서로 작성된 법률. 성문율. ↔불문법), 법령]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율례와 비슷함.[법도]로 역된 히브리어는 명사 [미슈파-트]인데, [판단한다] [판결한다]의 파생어로서, 

권위 있는 자에 의해, 혹은 옛 부터 관습에 기초하여 내려진 법적인 결정이 [법도]로 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규례]와 [법도]는, 특히 신 5:31,6:1에 의하면,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지키라 명하시고 있는 모든 명령의 

내용이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모든 것을 [규례와 법도]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구약에 있어서, 이들 용어법이 반드시 통일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 [규례와 법도]는 신명기에 있어서,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르치시려는 일체를 포함하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모든 것을 가리켜 말하는, 가장 표준적, 일반적인 표현으로 여겨진다.

 

[규례]로 역된 원어는 17이나 되고, 각각의 역어도 여러 가지로 되어 있다. 

이들 명사(名辭)를 신성한 규례와 세속의 규례로 구별하는 시도도 행해지지만, 엄격한 구별을 하기는 곤란하다. 

히브리인 및 기타의 고대인은 현대인처럼 양자의 구별을 세우지 않았다. 

생활의 전부가 신성하고, 모든 규례는 하나님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규례와 법도]도 한가지로,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모든 것을 표현하는 말이었다.

 

 

◎ 율례(State)

[히] qjo(choq), hQ;j(chuqqah)

 

 

[영] State 볍률의 정례(定例 일정한 규례. 정해 놓은 사례), 율법. →규례와 →법도. 

The Cross Pendant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uy Now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Terms of UsePrivacy Notice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

Home
Gospel
Question
Blog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