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비교종교학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제 5 장 유 교 

자는 천(天)혹은 천명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그의 의지와 생활을 지배했다고 할 수 있는 만큼 유교는 역시 종교로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창 설 자 : 공자외 다수

·신앙대상 : 천(天)에 대한 신앙이 아닌 사회 생활 규범과 질서를 중시 (仁義禮智, 孝悌 忠信)

·현 황 : 300,297,000명(아시아 3억이상, 유럽 5만, 아프리카 7천, 북미 9만, 대양주 5만) 

1. 공자의 생애

주 영왕 2년 노양공 22년(기원전 551년 11월 21일) 노국 창평향 추음에서 태어남. 3세때 - 그의 아버지 72세의 고령으로 별세. 유년 시절 - 당시 사대부 집안은 13세부터 교육을 받으나 그는 15세에 교육을 받기 시작. 34세 때 - 주 나라의 어진 임금들을 방문하여 성덕을 배웠으며 도교의 창설자 노자를 찾아 예를 묻기도 함. 36세 때 - 주에서 돌아온 그는 3천명의 제자가 있기도 했다. 55세 까지 - 그는 자신의 포부와 이상을 실현할 관직을 얻어 보고자 여러 제후국을 역방하며 여러 관직 맡으며, 내치뿐만 아니라 외교에도 혁혁한 공을 세워 이웃나라에까지 그 이름을 떨치게 됐는데 이를 시기한 제 나라의 뇌물과 미인계에 실망하여 모국 노를 떠나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유랑하다가 68세의 고령에 다시 돌아왔다. 그후 그는 노에서 추밀고문격의 대우를 받으며 시서와 예악 편집, 역학 연구, 노학역사를 편찬하였다. 그는 기원전 479년 4월 11일 향년 74세의 일기로 서거하였다. 

2. 맹 자

기원전 371년에 태어나 어머니의 훌륭한 교육을 받았으며(孟母三遷), 장성한 후 공자의 제자 자사의 문하에서 공부하며 자신을 공자의 후계자로 생각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여 그의 윤리, 정치, 철학의 기본 사상을 삼았으며, 사단설(四端說)을 주장하였다. 청치론에 있어서는 백성을 중시할 것과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고조하였다. 그의 사상과 교설은 맹자 7권이 전하며, 기원전 289년 향년 83세로 서거하였다. 

3. 유교의 경전

· 사서 삼경 혹, 육경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역경, 서경, 시경이며, 여기에 춘기, 예기, 효경을 추가) 

4.유교의 교설

(1) 군자(君子論) - 유교의 도덕적 이상인물(이상적 인격형)

· 군자 - 인(仁)을 존중하여 생의 최고 목표로 삼으며, 예(禮)를 존중하며, 실천을 중히 여김. 天命과 大人과, 聖人을 두려워함.

· 배우고 가르침의 목적 - 수기치인(修己治人) 혹은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 家治國平天下)

(2) 정치론

· 예치주의(禮治主義)와 덕치주의(德治主義)를 높이어 이 이상을 실현해 보고자 함.

(3) 인의 해설

· 내심에 있는 인이 경우에 따라서 어떻게 사람의 태도와 행동으로 표시되는 것.

· 인의 본질 - 순결하고 때가 끼지 않은 마음씨.

· 중용에서 仁은 誠으로 표시되어 성은 하늘의 道요 성을 이루는 것을 사람의 도 라하였다.

(4) 공자의 천(天)의 관념

· 사시의 변천, 만물의 성장과 움직임은 하늘이 하는 일이라 봄.

· 死生有命, 富貴在天

· 죄를 하늘에 얻으면 빌곳이 없다.

; 이와 같이 천에 대한 신앙을 가졌음에도 내세를 가르친바 없음.

(5) 오륜(五倫)과 효도(孝道) - 중시하는 도덕률

· 오륜 - 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 이 중 父子有親의 덕목이 가장 중시되어 孝의 관념(제사, 조상숭배의 사상이 생김)으로 표시. 

5. 결 론

제 6 장 도 교 

국에서 발생하였으며 창시자는 노자(老子 604-517 B.C. ?)라 한다. 노자는 그의 독특한 철학적인 도설을 주장하여 사람들이 모든 인위적인 것과 사욕을 버리고 자연에 돌아가 도와 합일함으로 지복의 경지에 이를 것을 주장하였다. 

1. 도교의 경정과 교설

(1) 경 전

도덕 경은 두 편으로 나뉘어졌는데 상편이 37, 하편이 44, 합 81장으로 되었으며 상편은 형이상학적인 우주 원리인 도에 대한 것이요, 하편은 도를 윤리와 정치에 관련지어 논술한 것이다.

(2) 도 론

중심 사상은 도이다. 무위의 원리인 도는 만물이 자연적, 자생적으로 스스로를 만들어 내도록 할 뿐이요, 그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 이율배반의 법칙이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모든 것을 한다. 이것이 도의 본질이며 위무위다.

(3) 우주관

우주 만상은 도로 말미암았다. 이 도에 의한 우주 생성의 과정은 도는 일을 낳고 일은 이를 낳는다. 이리하여 우주 만물의 생성의 원리가 되는 음과 양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음양의 상호작용으로 만물이 생겨나는 생명, 즉 삼이 생긴다.

(4) 윤리관

윤리의 교훈도 무위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첫째로 강조한 것은 온순의 덕이며, 둘째로 검소한 덕을 높이 평가한다. 인, 의, 효를 부덕(不德)으로 봄같이 그의 윤리관은 소극적이며 부정적이다.

(5) 정치론

'무위'의 철학을 주장한 그의 정치론도 역시 부정적이요, 반사회적이다. 모든 원칙적인 것을 제거하고 자연 그대로를 따라 사는 자유로운 사회를 이상 사회 혹은 이상국 가로 보았다.

(6) 종교론

무신론자이며, 천(天)을 자연물로서 땅과 상대되는 것으로 여김과 상제를 인정했으나 이는 도에 의하여 생긴 피조물의 지위에 있다. 귀신을 인정했으며, 인간을 해할 수 있으나 선정으로 귀신의 발동을 막을 수 있다 봄. 

2. 열자

노자와 같이 우주의 본체를 '허무'로 보았으나 이 무에서 만물이 생기는데는 태역, 태초, 태시, 태소의 네 단계를 거친다 하였다. 그의 정치 이상국으로 화서국이란 것을 묘사하였는데 이화서국이란 통치자도, 스승도, 미워함도, 사랑, 친함, 소원, 두려워함, 꺼리는 것등이 없이 평등 무차별의 사회이다. 

3. 장자

열자와 함께 노자의 사상을 조술한 사람으로서 그도 역시 천지 만물이 생기기전에 도가 있었으며, 도에 의하여 천지 만물이 생겼다고 생각하였다. 장자 철학의 특이점은 이 도 안에는 모든 상대적인 것이 소멸되어 혼연일체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우주 삼라만상의 무상과 비실재성을 주장했으며, 우주 만물은 무한에서 나와 무한으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인생관에 있어서 그가 역설한 것은 인생과 현실은 한 꿈이라는 것이며, 사람은 꿈을 꾸고 있으면서 참된 삶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생사관에 있어서 삶과 죽음이란 밤과 낮 혹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서로 뒤바꾸임과 같은 것이라 보았다. 그는 인간 최대의 행복은 자연에 순응하는 생활이라 보고. 이상의 나라는 달관의 힘을 가지는 곳이라 하였다. 이상적인 정치는 무정부이며,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은 안정, 평온, 조화, 및 부활 동의 상태에서 전체 속으로 흡수되는 희열을 갖는데 있다. 

4. 노·장 이후의 도교

노장 이후의 도교는 그들이 주장한 고원한 교설 에서 멀리 떠나 일종의 미신 종교로 변하고 말았다. 그리고 처처에 사원을 세우고 승려가 있어 오늘의 대중 불교와 유사한 점이 많다. 

5. 결론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