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작은 교회』요약 1, 데니스 비커스 저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안식일에 너희는 생명을 위해 짐을 지고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 작은 교회를 강하게 하는 13가지 조언-

                               저자 데니스 비커스 지음 / 조계관 역  

 ■ 저자 소개

 사우스이스트 인디애나 대학교를 졸업한 데니스 비커스 목사는 인디애나 주에 있는 작은 시골교회에서 20년 동안 겸직 목회자로서 지냈으며, 현재 인디애나 주와 켄터기 주의 침례교회들을 섬기는 지역 순회 목회자로, 캠벨스빌 대학교에서 자비량 목회자 센터의 자문 기관에서 고문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Part -1 작은 교회의 중요성  

1. 작은 교회가 중요하다  

“건강한 작은 교회는 끈끈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고, 가족 같은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사역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데니스 비커스 -   

1) 사람은 누구나 친밀한 관계를 갖고 싶어한다.   

남들이 자기를 알아주고 인정하고 사랑해주기를 원하며, 이러한 관계는 대형교회보다 작은 교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있는 형태이다. 대형교회는 교회 안에 소그룹 조직하여 서로 친밀한 관계를 맺도록 하는 반면, 작은 교회는 그 자체가 소그룹과 같은 역할을 하여, 작은 교회의 등록한다는 것은 교인이 되었다는 의미와 동시에 가족의 새 구성원이 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2) 작은 교회는 여러 가지 방면에서 그런 끈끈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  

예배 후에 모두 서로 감사 제목이나 기도 제목을 말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어 유대감을 느낄 수 있고, 교회 운영위원회나 사역 모임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예배 전후에 이루어지는 대화서 서로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작은 교회는 서로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작은 교회이다.

3) 은사를 활용하고 섬길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조사에 의하면 사람들은 사역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회에 등록하기를 원한다고 한다. 툼 레이너는 2년 동안 새신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교회에 새로 등록한 사람들은 교회의 일원이 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싶어 한다. 그들은 소그룹, 주일학교, 교회 사역에 동참하기를 원하며, 목표와 비전이 뚜렷한 교회를 갈망한다. 또한 그리스도를 영접한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도구가 되어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작은 교회는 모든 교인이 다양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물론 새신자에게 많은 책임과 의무를 지게하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4) 문제발생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작은 교회는 무슨 문제든지 신속히 퍼지는 특성이 있다. 그러한 특성은 교인들이 불만을 품고 있는 경우에는 악영향을 미치지만, 어려움에 처한 신자가 있을 때에는 적시에 도움을 베풀 수 있게 도와준다. 작은 교호들 가운데도 기도사슬을 형성하고, 문제가 있을 때마다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교회들이 많다. 이것은 서로를 위해 기도하다보면 서로의 사정을 깊이 알게 되고 그 때 그때 적절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5)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작은 교회의 교인들은 종종 비슷한 생활을 경험한다. 그들은 일터에서 경험, 경제적 능력, 교육 수준, 인종적·문화적 배경, 언어, 나이 등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6) 프로그램보다 사람들이 더 중요시된다.

 작은 교회의 목회자들은 교회 성장 세미나를 마치고 돌아왔을 때 심한 좌절을 느끼곤 한다. 세미나를 들 때만해도 그곳에서 배운 프로그램을 교회에 잘 적용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지만, 막상 교회에 돌아와서 시도해보며 교인들의 호응도가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유는 교인들은 그런 프로그램이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촉각을 세우고, 교인들 사이에 새프로그램이 교회의 유대감을 방해한다는 생각이 존재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가 어렵다.  

7) 작은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는 교회를 통해 여러 가지 유익을 얻는다.

 작은 교회가 지역사회의 모임 장소로 활용되고, 지방 선거나 전국 선거가 있을 때는 투표장소로 이용되기도 하며,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도와줌으로써 지역 사회를 섬기고, 지역사회에 하나님의 존재를 일깨워주고 새로운 희망을 전파한다.

하나님은 작은 교회를 큰일에 사용하신다고 믿는다. 작은 교회는 하나님 나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본다. 왜냐하면 주의 사람들에게 작은 교회가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작은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변화되고 그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하나님이 맡기신 일을 잘해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2. 교회의 건강이 핵심이다

1) 교회의 건강을 위해서는 먼저 진단이 필요하다.(갈등, 내향적 특성, 문화적인 관심, 빈약한 리더십, 비전과 목표 의식 부재, 낮은 자긍심에서)

     교회는 사소한 문제들을 방치하는 것이 아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감당해야한다. 이것은 사소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결과로서 심각한 결과물로 교회의 건강을 헤치기 때문에, 교회는 전문가(경험이 많은 목회자 / 신학교수 등)를 통해서 교회의 적절한 진단 과정을 통해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원인을 규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진단이 끝난 뒤에는 가장 먼저 노력을 기울일 것은 문제를 결정하고 “똑같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가장 큰 유익을 얻을 수 있는 문제를 산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2) 강점에 초점을 맞추고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라.

     단순한 프로그램의 변화가 아닌 체계의 변화의 집중하여, 아무 효과 없는 옛 체계의 외관을 개선하고 근본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핵심이 중요하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을 통해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Blog
About Us
Message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