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교회개척과 재정
개척교회의 재원은 개척교회 성도의 헌금, 모교회의 지원, 지방회의 도움, 총회 국내 선교부의 지원과 개인 후원자들로 구성한다.
개척교회는 십일조 교육을 교인들에게 하고, 매 모임 때에 헌금을 하게 한다. 헌금을 하게 하는 것이 무거운 짐일 수 있으나, 성경의 물질관을 바로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며, 교인들이 축복 받는 최선의 길이다.
교인의 청지기 봉사는 신자의 개인이나 권력이나 소유물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를 말한다. 이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를 건설하고 확장하기 위해 물질과 시간과 재능을 충실하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물질을 드리는 방법은 기쁨으로, 자원하여, 정규적으로, 희생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드려야 한다.
개척교회시 물질관리는 믿을 수 있는 회계를 세우는 것이 좋다. 실제적으로 개척교회를 하다보면 목사 자신이나 사모가 맡는 고통스러운 기간이 있을 수 있으나, 가급적 성경적으로 목사와 집사의 임무를 분리하는 것이 좋다. 개척교회라도 간단한 예산을 세우고, 회계는 두 사람이 계산하고, 회계는 월말에 한 번씩 재정을 보고한다.
목회자는 늘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된다. 어렵고 힘든 가운데서도 정말 하나님의 일을 할 때 물질에 부요한 것을 알게 된다. 목회자가 양들에게 풍성한 꼴인 은혜로운 하나님의 말씀을 배부르고, 만족하게 먹이면 양들은 풍성한 젖을 내게 된다. 목회자는 자신의 양떼와 소떼를 부지런히 살피고 보살펴야 한다.112)
목회자는 교인들에게 청지기 훈련을 일년에 한 번씩 실시하는 것이 좋다. 청지기 훈련은 재능, 시간, 재물, 전도와 십일조 훈련이 포함된다.
VII. 결 론
한국교회는 현대 한국인의 의식구조가 개인적인 문제 뿐 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엄청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문화적인 면, 조직적인 면, 예배 형태와 교육적인 면에서도 변하고 있다.
이 변화의 과정에서 21세기에 번창할 교회는 어디서 올 것인가? 많은 수의 교회가 개척될 것이다. 피터 왜그너가 말했듯이 하늘 아래서 유일하게 가장 효과적인 전도 방법은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다. 찰스 챤니는 교회개척의 중요성을 3가지로 요약해서 말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시작이 기성교회에 크게 자극을 주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집중적으로 전하고, 교회 성장의 정체와 수적 감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
많은 전통적인 교단들이 직면하는 심각한 문제들 중의 하나는 목회자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신학교는 동일한 비율로 학생들을 배출한다. 우리와 같은 상황이 1980년대 미국의 상황과 같으며, 현상 유지만을 바라는 목회자들에게 피터 왜그너는 교회개척에 대한 제안 없이 우려하는 목소리에 놀라고 있다. 다른 교단과 다르게 남침례교단은 교회개척자 훈련 프로그램을 흡수하고 실천하여, 미국사회에서 계속 성장하고 있는 교단이 되고 있다. 지난 10년(1991-2000) 간 남침례교단은 매년 1500교회를 개척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교회를 개척할 이유는 교회개척이 성경적이고, 교단의 생존 뿐 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일이며, 새로운 지도력을 개발하고, 기존 교회에 자극을 주며, 교회개척은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외에 경험적 이유로 (개척)교회는 전도의 열쇠이고, 더욱 빨리 성장하고,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선택의 기회를 주고, 항상 필요하며, 교단이 생존하도록 도와주며, 기존 교인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교회개척은 목회진단, 교회성장의 한계 극복하기 등과 함께 새롭게 주목받고 시작해야 할 학문이다. 교회 성장학이 한국교회에 많이 영향을 준 학문이지만 보수교단에서 몇 권의 책을 가지고 비판하는 입장에서 끝난 감이 있다. 교회성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요 사도행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령님의 활동하시는 표적이다. 한국교회는 1990년대 중반에 들어와서 교회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아직도 구원할 75%의 사람들이 있다. 한국교회의 현 상황을 바라볼 때, 한국교회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목회의 대안을 위해 우리는 다시 이 개척 학문 분야에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본인은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백 개가 넘는 개척교회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여하여 왔다. 열성, 용기, 기도, 헌신, 놀라운 능력으로 교회를 개척하는 목회자들을 보아 왔다. 기도와 눈물로 교회를 이루는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교회개척은 영광된 일이나, 쉽지 않다. 개척교회는 경제적 어려움, 부족한 인적 자원, 참기 힘든 어려움과 고독, 정착 율의 하락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개척자는 믿음과 열정의 사람이어야 하고, 사람을 좋아하는 성품이어야 한다. 개척자는 목회의 은사를 깊이 확인하고, 사람을 키우는 지도력을 가지며, 복음 전도와 교회성장에 확신을 가져야 한다. 교회개척자는 생사결단의 기도와 가족이 함께 부름을 받아야 한다.
이제는 한국의 개척교회가 잉태과정에서부터 힘든 일에 막혀 있다. 좋은 위치에 건물만 얻어 개척하면 그만 이라는 생각은 지나간 세대의 일이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말씀, 분명한 대상, 관계조성, 큰 믿음과 비전, 기도, 대담한 전도열, 구령에 대한 불타는 사랑, 팀 목회, 장기계획, 교회 건축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초창기에 기도 부흥, 멤버 구성, 지역설정, 사람의 동원과 무장, 전도전략, 예배와 성장 프로그램, 치유 접근법,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의 개척이 되어야 하고, 확실한 자기 진단이 요구된다. 개척교회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에 고생의 각오와 함께 인력 낭비와 사회적 낭비가 되지 않도록 확실한 준비, 확인, 진단을 통한 지혜로운 대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개척 전의 일들과 개척과정과 개척 후 교회의 성장과정을 제시하고, 현 교회의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고, 미래를 대비할 타개책을 제시했다. “교회개척의 시대는 지났다”라는 말이 나오고 있으나, 결코 그렇지 않다. 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뜻이고, 교회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교회개척은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도로 하는 것이며 비전으로 하는 것이다.
현 한국침례교회들이 10년 안에 한 교회씩을 개척할 계획을 완수한다면 100년에 이룬 침례교단의 부흥을 10년 안에 5,000개 교회로 배가시킬 수 있다. 현재 사역하는 부사역자들과 배출되는 신학생들을 강하게 훈련시키면 개척자들을 확보할 수 있다. 교회는 재산 증식이나 권력기구가 아니다. 교회개척은 복음확장과 부교역자들의 사역을 만들러 주는 면에서도 중요하다. 평신도들이 안일하고 게으르지 않고, 평생 개척 교회 한 곳을 세우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주님을 섬기도록 교육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5년 이상 기간 동안 성장이 주춤하고 침체되어 있는 고원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이 현상을 극복하는 대안은 교회가 예수님이 원하는 교회의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다. 교회가 성경대로 그 기능을 균형 있게 감당하며, 예수님의 지상명령 대로 교회를 개척할 때, 그런 교회는 작든 크든 세상이 감당하지 못하는 교회로 성장하여, 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고문헌
명성훈. 「교회개척의 원리와 전략」. 서울 : 국민일보사, 1997.
이상대. 「개척교회를 벗어나는 일곱가지 방법」. 서울 : 요단출판사, 1997.
최영기. 「구역조직을 가정교회로 바꾸라」. 서울 : 나침반출판사, 1996.
최현서. 「건강한 교회와 아름다운 목회」. 서울 : 서로사랑, 2003.
Arn, Win. The Pastor's Church Growth hand Book. Pasadena : Church Growth Press, 1988.
Barna, George. Marketing the Church. Colorado : NavPress, 1988.
Chaney, Charles L. Design for Church Growth. Nashville ; Broadman Press, 1977.
. Church Planting at the end for Twentieth Century. Wheaton : Tyndale House Publishers, 1982.
Crawford, D. R. Church Growth Words From The Risen Lord.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0.
Dudley, Carl S. Making the Small Church Effective. Nashville : Abingdon Press, 1990.
Faircloth, Samuel D. Church Planting for Reproduction. Grand Rapids : Baker Books, 1991.
Gammage, Albert W. How to Plant a Church, 고용남 역, 교회개척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93.
Green, Hollis. Why Churches Die. Minneapolis : Bethany Fellowship Inc., 1975.
Hadaway, C. Kirk. Church Growth Principles : Separating Fact form Fiction.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1.
Jones, Ezra Earl. Strategies for New Churches, 고민영 역. San Francisco : Harper & Row, 1976.
Kane, J. Herbert. The Christian World Mission Today and Tomorrow.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81.
Malpurs, Aubrey. Planting Growing Church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92.
MaCoury, D. G. and May, Bill. The Southern Baptist Church Growth Plan. Nashville : Convention Press, 1991.
McGavran, Donald A. Understanding Church Growth. Grand Rapids : Eerdmans, 1990.
MaGavran, Donald A., and Win Arn. How to Grow a Church. Ventura : Regal Books, 1973.
Miles, Delos. Church Growth : A Mighty River. Nashville : Abingdon, 1987.
Rainer, Tom. The Book of Church Growth.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3.
Schaller, Lyle E. Growing Plans. Nashville : Abingdon, 1983.
Schwarz, Christian A. Natural Church Development. Carol Stream : Church Smart Resources, 1996.
Towns, Elmer. A Practical Encyclopedia : Evangelism and Church Growth. Ventura : Regal Books, 1995.
. Getting a Church Started. Nashville : Impact Company, 1975.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Glendale : Regal Books, 1979.
. Your Church Can Be Healthy. Nashville : The Parthenon Press, 1979.
. Church Planting for a Greater Harvest. Ventura : Regal Books, 1990.

He is a cross pendant.
He is engraved with a unique Number.
He will mail it out from Jerusalem.
He will be sent to your Side.
Emmanuel
Bible Verses About Welcoming ImmigrantsEmbracing the StrangerAs we journey through life, we often encounter individuals who are not of our nationality......
Who We AreWhat We EelieveWhat We Do
2025 by iamachristian.org,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