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세 및 현대교회사(1800- 현재)
1. 서 론.1) 복음의 확장(1) 교통이 발달로 세계가 축소되고 각 분야가 세계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2) 복음이 대륙 오지에서 부터 절해의 고도까지 널리 전파되었다.(3) 미국의 번영이 복음 전파에 촉진제적인 구실을 하였다.2) 기독교의 사회 활동(1) 프랑스 혁명이 결과로 유럽 대륙에 평민 세력이 확장되엇다.(2) 산업의 발달로 자본가의 노동자의 격차를 더욱 심하게 하였다.(3) 교회 안에서는 하층 계급에게 전도하는 운동이 일어났다.(4) 각종 사회 사업 기관을 설립하여 생활 개선 운동이 일어났다.3) 과학의 철학의 발달(1) 유물론적 세계관의 형성.(2) 종교와 과학의 조화 문제 대두.(3) 신학 연구에 새로운 영향.(4) 칸트를 위시한 각종 철학 사상 대두.4) 새로운 신학 사조의 형성.(1) 슐라이어마하 (Schleiermacher).(2) 리츨 (Ritschl)(3) 코울리지 (S.T.Cloerdge)(4) 부시넬 (Bushnell)5) 종교적 반동 운동(1) 바티칸 회의의 교황 무오설 주장.(2) 옥스퍼드 운동 등. 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1) 의의프랑스의 혁명 당시만 해도 교회는 인심을 지배할 수 있었으나 19세기에 접어들자 새로운 움직임이 철학계와 문학계와 문학계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2) 문학자(1) 루소.(J.J.Rorsseau,1712-1778)(2) 괴테.(J.W,von Goethe.1749-1832)(3) 실러.(J.C.F.von Schiller,1759-1805)3) 철학자(1) 칸트 (Immanuel Kant,1724-1804) a. 생애 ㄱ.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Konigsberg)에서 출생하고 여기서 교육을 받았다. ㄴ.1775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강사로 취임하였고 1770년에 정교수가 됨. ㄷ.이 도시에서 평생을 보냈고 독신 생활과 규칙 생활로 일관하였다. b. 저서 ㄱ.순수 이성 비판 (1781). ㄴ.실천 이성 비판(1788). ㄷ.판단력 비판 (1790). ㄹ.프롤레고메나(1783) ㅁ.도덕 철학 원론(1785). ㅂ.이성의 한계내의 종교 (1793) ㅅ.인간학 (1798). c. 사상 칸트의 사상은 주지주의 사상이다. 즉 사색의 자유를 추구한 나머지 개인적 주지주의 사상이다. 즉 사색의 자유를 추구한 나머지 개인적 주지주의에만집착하여 자연 과학의 가설 위에 서있는 학문 만을 진리라고 하는데 대하여 지식적 비판을 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ㄱ. 순수 이성 비판...인식론과 형이상학(1) 인식론...모든 인식에는 밖으로부터 공급하는 요소와 안으로부터 공급하는 요소가 있다. 시간과 공간은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실 재를 인식할 수 있는 주관적 형식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형식 에 맞추어 우리의 정신은 현상 세계를 창조한다고 했다.(2) 형이상학...인간은 주관적 지식과 경험으로 도저히 알수 없는 것이라고 불가지론을 주장하였다.ㄴ. 실천 이성 비판...도덕론 신을 도덕의 근본적인 전제라고 하였다. 즉 실천 이성의 요청에 의한 신을 주장한 것이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인간의 윤리 적 의무를 이행케 하는 존재자로 생각하였다. 칸트는 기독교회의 영적인 신비주의 경험이나 인간의 구원 그 밖의 교리들 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하였다.(2) 요한 고트프리이드 폰 헤르더(Johann Gottfried Von Herder,1774-1803). a. 칸트의 제자로 신학을 전공 루소의 감화를 받음. b. 괴테의 주선으로 바이마르 (Weimar)의 궁전 목사가 되었다. c. 사상 ㄱ.감정을 중요시하고 개인주의에 치우침. ㄴ.종교는 인도의 체현이며 기독교는 최고의 체현이라고 하였다. ㄷ.기독교를 알려면 원시적 사료를 연구하여야 한다. ㄹ.성경은 인간을 위해 인간이 기록한 책이므로 이것을 읽는데는 인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주장. d. 저서...<역사 철학의 관념>1792 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1) 생애(1) 1768년 동부 독일 브레슬라우 (Breslau) 에서 목사의 아들로 출생.(2) 바르비 (Barby) 신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할레(Halle) 대학을 옮겨 칸트 연구.(3) 할레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강의2) 신학 (종교적 체험의 신학)(1) 종교론 a. 감정이나 감정 영역 속한다. 인간 정서의 기초하여 신을 의지하는 생활이 다 (객관적 계시보다 주관적 감정에 권위를 두어 종교를 인간학으로 대치 시켰다). b. 무한한 감촉을 맛보는 것이다.( 경험).(2) 기독교의 본질 a. 그리스도 중심 (합리주의자는 구속의 역사가 그리스도에게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지 않음). b. 그리스도의 사업이 곧 구속이다. (신앙은 하나님은 의지하는 체험 속에 뿌리박고 있다. 죄는 하나님을 원수시하고 구속은 죄를 극복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은총만으로 가능하다). c. 신조나 성경 보다 종교적 개인의 체험을 중요시 한다.(3) 기독론 a. 예수는 인류의 원형이다. b. 제 1 창조를 초월하는 제 2의 창조이다. c. 성육신은 기적이요 초장연적 사건이다. d. 그가 고난 당함으로 인류와 완전히 결합되었다.3) 저서 <종교론> (Rden Uber die Religion,1799). <독 백 > (Monologen) <기독교 시앙> (Der Christliche Glarbe, 1820-1821). 4. 실라이어마허 이후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1) 생애 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 b. 가정교사, 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 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 델베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2) 사상 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 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엿고 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 적 과정 그 자체라고 하였다. 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3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1) 정.... 추상 보통의 개념. (2) 반.... 모순 개념. (3) 합.... 제 3의 개념.즉 변증법적 과정이란 실제의 진화를 따라 결국은 보통 개념이 되므로 일체의모순은 해결된다는 것이다.(3) 저서...<정신 현상학> <철학 개론> <법철학> <종교 철학> <논리학>2) 시트라우스 (D.F. Straus, 1808-1874)(1)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 실라이어마허와 헤겔의 영향을 받음.(2) <예수의 전기> 를 발행하여 충격을 줌. a. 예수는 역사적 인물이나 이적은 신화다. b. 역사적 가치로 보아 복음서 중 마태복음만 중요하고 요한복음은 가치가 없다. c. 이적은 사실상 불가능하니 역사적 가치가 없으나 형이상학적 관념으로 보 면 큰 가치가 있다.3) 바우어 (F.C.Baur, 1792-1860)(1) 튀빙겐 출신으로 실라이어마허와 헤겔의 영향을 받았다.(2) 시트라우스와 같은 방법으로 성경과 기독교 역사를 비판 하였다.(3) 저서...<기독교 화합의 교리> (1841)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육신 교리> (1847), <기독교 교리사> (1847), <초 3세기의 교회사> (1853).4) 비이더만 (A.E.Biedermann,1819-1885) (1) 스위스 쮜리히 교수이며 비평가임. (2) 구원의 원리와 예수의 인격을 구분. (3) 성육신은 하나님의 생활의 전요소이다. (4) 속죄, 부활,승천은 시간 이상의 사실로 보아야 한다.5) 자유 복음파 (중용파)(1) 헤겔 철학과 실라이어마허 신학을 병합 보충한 자유 복음파로서 경험 신학 에 감정과 지식의 활동도 포함할 것을 주장하였다.(2) 도르너 (I.A.Dorner,1809-1884)등 많은 학자들이 이 학파에 소속되어 있다 5. 옥스퍼드 운동 전의 영국 교회1) 영국 교회를 지배하는 사상들(1) 메더디스트 복음파(2) 고교회파(3) 프랑스 혁명의 자유 사상.2) 코울리지 (Samul Taylor Coleridge,1772-1834).(1) 생애 a. 케임브리지, 옥스퍼드에서 수학. b. 천재로서 호반 ㅅ인 평론가,철학자 종교가로서 <영국의 실라이어마허>라고 불리었다. c. 간트,셀링의 저서 탐독,스피노자를 숭배하였다.(2) 사상 a. 종교론...종교는 다 영적이며 외적 증명에 있지 아니하다. b. 죄...원죄를 강조 c. 속죄론...그리스도의 죽음이 우리 죄를 속함은 우리 경험으로 알 수 없는 비밀이다. d. 성경론...신의 계시이다. 오류가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전체 정신에 비추 어 각 부분의 가치를 정할 수 있다. e. 교회론...하나님께서 조직한 기관으로 다른 어떤 제도보다 귀한 것이다.3) 오오리얼 칼리지 (Oriel College)파 (1810-20 왕성)(1) 사상 a. 진보적 사상 고취 b. 자유로운 연구 주장. c. 도덕적 정신 충만.(2) 중심 인물 a. 토마스 아아놀드 (Thomas Arnold, 1795-1842) ㄱ.옥스퍼드 출신으로 역사 연구 ㄴ.성경의 비평적 연구를 시인하고 영적 방면에는 경건하였고, 국교회의 문호 개방과 교회와 국가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b. 훼이틀리 (Whately), 햄프던 (Hampden), 호오킨즈 (Hawkins) 등. 6. 옥스퍼드 운동. (Oxford Movement)1) 의의와 발단 1833-1841년에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일어난 종교 운동으로서 일명 소책자 운동이라고도 한다. 1822년의 선거법 확장안과 1828년 종교 자유법안으로 중산층의 국회 진출이 늘고 개혁파의 세력이 커지자 고교회의 권위 보존을 위해일어났다. 그 발단은 1833년 7월 14일 존 키이블(John Keble)이 <국민적 배신>이란 설교를 함으로 시작되었다.2) 목적(1) 종교의 침체를 구출(2) 건실하고 순수한 교회를 육성.(3) 도덕 재무장.(4) 교리와 규칙을 지킴.(5) 전통의 계승.3) 중심 인물(1) 존 키이블 (John Keble,1792-1866). a. 목사의 아들로서 옥스퍼드 수학. b. 시인으로 고문학을 연구하고 <크리스찬이여>이라는 시집을 간행하여 25년 간 10만부가 발행되었다. c. 권리와 장업함을 좋아하며 국교회의 풍속을 좋아했다.(2) 프루으드 (Richard H,Froude,1803-1836). a. 오오리얼 학교에서 키이블에게 사사. b. 개혁 교회를 공격하고 수도원을 장도하였다.(3) 뉴우면 (John H,Newman,1801-1836). a. 옥스퍼드에서 수학,후에 목사가 됨. b. 신앙심이 독실하였고, 자유 사상으로 기울어졌다. c. 1827년에 키이블의 저서에 감동을 받고 사상의 전환이 왔다. d. 소책자를 발행하고 주일 오후마다 성 매어리 교회에서 설교하였고 대학을 중심으로 옥스퍼드 운동을 전개하였다.